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d라이브러리
"
옛날
"(으)로 총 1,3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어 치료에 이용한다”고 말했다. 요즘 봉독요법은 벌을 잡아다 피부에 쏘게 하는
옛날
방식이 아니라 벌침에서 모은 봉독을 주사제로 만들어 사용한다. 배 교수팀은 자생한방병원과 공동으로 봉독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DNA칩을 이용해 봉독이 염증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별이 떠올랐다. 선원들은 별자리의 위치를 보고 어디로 가야 할지를 알아냈다. 이렇게
옛날
뱃사람들은 별을 길잡이 삼아 항해를 마칠 수 있었다. 수천 년 전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별을 지표 삼아 길을 찾을 수 있었을까?삼각형으로 길을 찾다 지금은 도로가 잘 닦여 있어 웬만한 길은 차로 다닐 수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모든 사람과 주택의 규모뿐 아니라 그 특성까지 파악하기 위해 꼭 필요한 통계조사다.
옛날
사람들도 인구조사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다. 기원전 3600년경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 건설에 앞서 인구를 조사했다. 중국에서도 기원전 3000년경 토지를 나누고 세금을 걷기 위해 인구조사를 했다.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아치를 쌓아 올렸다. 홍수에 대비해 아래층 아치의 지름과 기둥 수를 제한한 것 이다.
옛날
에 지은 아치교의 아치는 반원 모양이 많다. 다리 아래의 폭과 다리 높이의 비율이 2.0에 가깝다는 뜻이다. 승선교의 비율도 1.94(=9.1m÷4.7m)다. 이러한 아치교는 안정적일 뿐 아니라 보기에도 아름답다. 하지만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옛날옛날
동물세계에는 용맹한 호랑이 나라와 지혜로운 원숭이 나라가 있었습니다. 호랑이 나라에는늠름한 말과 뱀, 소 세 장군이 호랑이 왕을 받들어 힘센 나라를 이루고 있었어요. 원숭이 나라에는 충성스런 쥐와 토끼, 개 세 장군이 원숭이 왕을 섬기며 부자 나라를 만들었어요. 두 나라는 오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크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는 젊은이가 노인이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
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기관인 뇌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들 수 있는 거야.’지오는 산학이 신비롭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어쩜 산학이란
옛날
이야기 속에 나오는 산신령의 도술법이나 요술법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임금과 황산사가 산학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며 연월기를 만들려는 이유도 알 것 같았다.황산사에게서 배운 글자들을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더욱 강조하는 나라도 있어요. 동유럽의 나라들이 대표적인데 이들 나라에서는
옛날
부터 유명한 수학자들이 많이 나왔어요. 특히 헝가리는 수학교육의 수준이 높아요. 2학년 때 이미 간단한 분수를 배운다거나,5~6학년 때 확률을 계산하는 법을 배우는 식이거든요.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학을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아닌 실제 공간에서 정해진 몇 명의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며 게임을 한다는 점에서
옛날
공터에서 뛰어놀던 모습과 비슷하다.하지만 게임을 하기 위해 모니터나 막 형태의 스크린을 사방에 설치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그런 문제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로 해결할 수 있다. 헬멧 또는 머리띠 ... ...
이상은 필명, 본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한다는 점에서는 똑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볼수 있지.그래도 뭔가 어색하게 느껴져요.
옛날
에는 철학자가 곧 수학자이자 과학자였어. 지금처럼 철학과 수학이 나눠지지도 않았고, 수학을 잘 이해해야 철학을 할 수 있었거든. 이런 특성은 박사학위 명칭에도 남아 있지. 이공계 박사를 보통 Ph.D.라고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