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의 성능 실험 결과 이 자석은 기존 희토류 자석에 비해 단위
부피
당 내는 자성이 1.46배 정도로 높았다. 또 값비싼 희토류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어 자석의 가격도 낮췄다. 연구팀은 현재 실용화를 위해 자석을 크게 만드는 등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좌 교수는 “기존 ... ...
박호석 성대 교수 8월의 과학기술인상…‘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슈퍼커패시터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 분자 수준 표면제어로 해결하지 못했던 포스포린의
부피
팽창과 전도성 문제를 나노 구조화 및 화학적 표면제어 기술로 해결한 것이다. 박호석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연구팀은 실제로 2차원 포스포린을 ... ...
그래핀과 레이저로 생체 샘플 질량분석 간편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연속발진 레이저란 레이저빛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레이저로 소자의
부피
가 작고 저렴하며 구조가 간단하다. 연구팀은 현미경 기판 아래 위치한 연속발진 레이저를 시편에 쏴 고체 표면에 흡착돼 있는 분자가 열, 빛, 전자충격 등에 의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탈착과정에서 나오는 ... ...
[KSF2019] '초소형위성'에 추진장치 붙여 우주쓰레기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기관을 다는 것은 부담이 크다. 이 대표는 “외부벽면에 추진기를 얇게 추가함으로써
부피
를 아끼고자 하는 초소형위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진기는 초소형위성의 수명을 늘리는 데도 활용될 예정이다. 위성이 수명을 다하는 이유는 장비 고장도 있지만, 임무를 수행하기 ... ...
[인류 달 탐사 50년] 헬륨3 찾으러 달에 가는 '찬드라얀 2호'(3)
과학동아
l
2019.07.08
지구보다
부피
가 약 1000배 이상 더 큰 목성을 거쳐 태양계 끝자락의 토성과 천왕성, 해왕성을 모두 탐사했다. 이러한 인류의 우주 탐사는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을 정복하면서 본격화됐다. 인도는 첫 시도에 달 탐사에 성공해 주목받았다. 인도는 2008년 찬드라얀 (Chandrayaan) 1호를 달 궤도에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만들거나 저장물질이 환원되는 반응을 거치는 물질을 쓰는 방법도 있지만, 반응시
부피
가 너무 커지고, 이 과정에서 결정 구조가 변하면서 입자가 부서져 성능이 빠르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육 교수팀은 황화구리를 이용하면 충방전 뒤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저장 성능이 떨어지지 ... ...
거대한 MRI 장비 크기 절반 이하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10t에 달하는 자기공명영상(MRI) 기기의 무게를 반 이상 줄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MRI의 큰
부피
와 무거운 무게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던 병원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김석환∙조영식 초전도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MRI)의 크기와 무게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대체로
부피
가 커진다. 다만 물의
부피
가 최소가 될 때는 섭씨 0도가 아니고 4도이다.
부피
가 최소이므로 밀도(=질량/
부피
)는 최대이다. 1889년 제1차 도량형총회에서는 미터와 마찬가지로 금속덩어리를 하나 만들어서 1킬로그램으로 정의했다. (왼쪽) 한국에서는 1983년부터 진공 상태에서의 헬륨네온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에 탑재된 행성푸리에분광계(PFS)의 관측 자료를 근거로 2004년 12월 화성에 약 10ppbv(전체
부피
의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의 메탄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처음 발표됐다. 하지만 장비의 신뢰성이 문제가 돼 온전히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doi:10.2307/3839774 美 큐리오시티 ... ...
폭발 위험 없고 강력한 전고체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강하다. 사진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폭발과 화재 위험을 없애면서도 배터리 팩의
부피
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제조기술이 나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김호성 제주제역본부장팀이 전지 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바꾼 새로운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