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뉴스
"
사진
"(으)로 총 13,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초 달 궤도 진입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기폭제가 됐다. 우주에서 지구를 촬영한 최초의 컬러
사진
이라는 의미도 가진다. 그가
사진
을 촬영한 날은 12월 24일 크리스마스이브라 '인류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앤더스는 1997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의 인터뷰에서 "아폴로 8호 임무가 위험하지 않다고 ... ...
우주 쓰레기가 우리 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과학동아
l
2024.06.08
021년 3월 국제우주정거장(ISS)은 화물 팔레트 EP-9를 폐기했다.
사진
은 우주 비행사 마이크 홉킨스가 촬영한 팔레트가 우주 공간으로 버려지는 순간이다. NASA/Mike Hopkins 제공 2021년 NASA는 화물 팔레트 EP-9의 폐기를 명령하면서 "팔레트가 2~4년 정도 궤도를 돌다가 지구로 낙하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 ...
영국·인도·에티오피아 대기오염, 디지털 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6
쉽게 대기 오염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사진
작가 로빈 프라이스는 "과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접근할 수 있는 대기 오염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대기 오염 수준을 관리하는 것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 ...
中 "창어 6호, 세계 첫 달 뒷면 샘플 채취 성공…지구 귀환 준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뒷면에서 수집한 샘플을 싣고 달 표면에서 이륙하는 중국의 창어 6호를 촬영한
사진
이다. 신화통신/연합공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 채취를 목적으로 발사된 중국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채취 임무를 마치고 귀환을 준비 중이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4일 중국 국가항천국(국가우주국)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 퇴원환자 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 '집으로' 8번째 하우스 완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주거환경 개선 지원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한 의료진과 환자가 기념
사진
을 촬영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 분당서울대병원은 저소득 노인과 장애 환자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인 '집으로' 프로젝트의 8호 하우스 공사를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분당서울대병원 ... ...
[과기원NOW] GIST, 손욱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이사장 초청 한국형ESG 특강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이사장을 초청한 ‘한국형(K) ESG’ 특강에서 관계자들이 기념
사진
을 촬영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이사장이자 대한민국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위원회 자문위원장인 손욱 이사장을 초청해 ESG 전문가 특강을 ... ...
"그린클래스 참여하고 경기도교육감상 받자"… LG화학 그린클래스 후기 공모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체험한 학생 개인과 단체이며 체험후기나 활동과정을 담은 60초 미만의 숏폼 콘텐츠나
사진
과 수기로 작성한 1~2장 분량의 활동후기 중 하나를 선택해 제출하면 된다. 접수된 작품은 심사단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하고 7월 10일에 시상할 계획이다. 개인부문 최우수 작품 1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30일 사이언스 표지에는 청동뻐꾸기와 청동뻐꾸기가 기생하는 숙주 새인 요정 굴뚝새의
사진
이 실렸다. 요정 굴뚝새는 청동뻐꾸기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청동뻐꾸기는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다. 자신의 새끼들이 둥지 주인인 숙주 새에게 기생해 생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하트 무늬가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
사진
에 사랑의 표식인 하트 모양 지형이 선명하게 포착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 하트 지형이 형성된 원인이 비교적 정확히 밝혀졌다. 해리 밸런타인 스위스 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우주 및 행성 과학 연구원이 이끄는 ... ...
[극한호우, 우리]⑤ 한국, 1+1=3이 되는 길 찾아야…반지하 거주민 대책도 필요(끝)
2024.05.31
찾아 그린 인프라의 빗물 처리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사진
은 시간당 200mm 강우모사실험장면. 과학동아 특별취재팀 제공 "이게 시간당 200mm 비입니다!" 박재록 한국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센터 연구원이 레버를 돌리며 소리쳤다. 마른하늘에 비가 내리는 소리가 시끄럽게 퍼졌다. '200mm'라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