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빛 센 날은 '깜깜' 흐린 날은 '투명'…‘스마트 윈도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연구팀이 기존 스마트 윈도우 기술인 전기변색 소자에 태양광 흡수층을 일체형으로
삽입
한 스마트 윈도 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스마트 윈도우와 달리 전력이 필요없고 기존 제품 대비 가격을 30~50% 이상 낮출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 윈도우 기술은 ... ...
20번 빨아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용 나노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정렬된 나노섬유 필터를
삽입
한 면마스크 예다. 면마스크 별도 반복 세척 및 나노섬유 필터의 반복적인 소독 교체 가능하다.KAIST 제공 최대 20회까지 빨아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나노섬유 마스크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해 제품화까지 마쳤다. 연구팀은 지난해 교원 창업회사를 설립해 하루 평균 150 ...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에 200억 투자…"6개월 뒤 임상 개시"
연합뉴스
l
2020.03.12
마스크를 제작해 여러 번 세탁해 사용해도 문제가 없도록 했다"며 "필요할 경우 필터를
삽입
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공급 부족에 시달리는 마스크용 MB(멜트블로운·Melt Blown) 필터를 대체할 수 있는 필터도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우한에 대한 투자계획도 유효하다고 ... ...
WHO는 면마스크·재사용 금지하는데…한국 '한시적 허용' 논란
연합뉴스
l
2020.03.03
위해 이번 지침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면 마스크 시험 결과, 정전기 필터
삽입
면 마스크는 비말을 통한 감염 위험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마스크 대란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마스크 부족 상황에서 한시적인 사용지침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버스나 ... ...
옷깃만 스쳐도 전기 잡는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파스칼(Pa)에서도 소자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초소형 IoT 기기와 생체
삽입
형 소자의 전원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했다”며 “이같은 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심재윤 포스텍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박막 배터리 등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SoC를 개발했다. 또 이를 이용해 인체에
삽입
할 수 있는 임플란트형 초소형 나노와트 무선센서를 만들었다. 심 교수는 이 기술을 응용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실시간으로 당을 진단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만들어 지난해 6월 반도체 회로 분야 세계 최대 ... ...
고리4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보수 조치했다. 원안위는 또 지난해 2월에서 3월 사이 두 차례 발생한 제어봉 비정상
삽입
에 의한 일시적 출력 감소 원인을 정밀 점검했다. 그 결과 전원 케이블 연결부 일부 손상을 확인, 부품을 교체하고 점검 절차 등을 개선하도록 했다. 원안위는 향후 출력상승시험 등 10개의 후속검사를 ... ...
[프리미엄 리포트]소리에 소리를 더해 소음을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01.18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들어간 이어폰은 커널형 디자인(귀 안쪽 외이도까지 이어폰이
삽입
되는 형태)이 대부분이고, 헤드폰도 이어캡이 귓바퀴를 덮을 만큼 크다. 이는 소음이 만들어내는 파동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다. 이어폰(또는 헤드폰) 바깥에서 발생한 소음은 이어폰을 통과하면서 크기 ... ...
재발·호전 거듭하는 '다발골수종'…4년새 환자 39%↑
연합뉴스
l
2020.01.17
대다수이다 보니 통증이 생겨도 원인 감별이 어렵다. 진단은 엉덩이뼈에 바늘을
삽입
해 골수를 채취하는 골수천자 및 생검에서 골수에 비정상적인 형질세포가 10% 이상 증가해 있고, 혈청 혹은 소변에서 발견된 단백들을 분리하는 전기영동검사에서 M-단백이 검출되면 확진한다. 일부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디스플레이가 보편화될 전망이다. 기존의 착용하는 형태가 아닌 패치 형태 혹은 생체
삽입
형태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도 많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혹은 헬스케어 장치의 휴대와 착용이 더 편리해져 공간과 시간에 제약 없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