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뉴스
"
인공적임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실제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21
100억년 동안 수소 핵융합이 가능한 태양 상상도 - 한국연구재단 제공 세계 인구는 2010년 70억 명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다. 이 속도대로라면 2100년 110억 명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진다는 얘기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약 80%는 석 ... ...
비싼 백금은 가라…저비용 망간 촉매로 수소 제조
과학동아
l
2014.05.14
국내 연구진이 가격이 저렴하고 효율도 뛰어난 수소생산용 촉매를 개발했다.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는 수소에너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기태·한승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김선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팀과 공동으로 저비용·고효율 촉매인 ‘망간포스페이 ... ...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과학동아
l
2014.05.12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사랑에 실패한 이가 다시 찾아온 다른 사랑 때문에 옛사랑이 잊혀진다는 내용을 담은 유행가 가사가 그토록 많은 이들의 공감을 받는 이유가 밝혀졌다. 실제로 기억이 없어지는 이유는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겨 새 기억이 그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이 ... ...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열었다
과학동아
l
2014.04.10
오늘(4월 11일)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이다. 파킨슨병은 신경세포가 망가져 운동능력을 잃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퇴행성 뇌질환 중 치매 다음으로 환자 수가 많으며,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그 수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셀레질린 등 ... ...
佛 연구진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04.04
강한 지진은 해일이나 도로 및 가옥 붕괴 등의 큰 피해를 가져온다. 투명망토 기술을 응용하면 지진파 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 피해 없이 그대로 통과시키는 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진해일(쓰나미)이 덮쳐 큰 피해를 입은 2011년 3월의 일본 이와테 현 오후나토 시의 모습. - 동아일 ... ...
녹화사업으로 도심 열섬 줄일 수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하얀색으로 지붕을 칠해 햇빛 반사를 높인 미국 애리조나의 주도 피닉스의 모습. 대표적 '쿨다운' 기술이다. - Ken Fagan, Arizona State University 제공 이번 겨울 서울지역은 예년에 비해 추위가 덜했다.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그 중 하나로 ‘열섬현상’을 꼽고 있다. 열섬현 ... ...
마산만에는 겨울에도 적조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0
경남 진해반도와 구산반도로 둘러싸인 ‘마산만’. ‘적조’를 연구하는 전 세계 학자가 주목하는 곳이다. 적조 연구용 샘플 채취. - 정해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제공 적조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생물이 대량으로 번식하는 현상이다. 수중 산소 농도를 떨어뜨려 생태계에 위협을 ... ...
대장균으로 휘발유 만든 과학자, 이번에는 ‘페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국내 연구진이 대장균을 이용해 페놀을 인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페놀은 원유를 처리해 얻어내는 석유화학물질로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카보네이트, 강력 접착제인 에폭시, 제초제 제조에 쓰인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은 30일 대장균의 대사작용(생물체가 몸 밖 ... ...
선천성 빈혈 발병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중간이 움푹 패인 빨간색 원반이 수북이 쌓여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찍은 적혈구의 적외선 사진. 적혈구는 우리 피를 빨갛게 보이게 하는 주인공이다. 적혈구는 지름이 약 7㎛(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인 세포다. 우리 몸 구석구석까지 산소를 운반하는 ... ...
해외여행 잘못 갔다가 '헤롱'거린다면 이 방법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우리나라와 한 두시간 차이나는 이웃 나라가 아닌 예닐곱 시간의 시차가 나는 유럽이나 미주를 여행하거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경우 가장 힘든 것은 시차적응. 바로 ‘시차증(jet lag)’ 이다. 시차증은 몸 속 생체시계는 한국 시간에 맞춰져 있는데, 비행기를 타고 전혀 다른 시간에 놓여 낮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