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
뉴스
"
전자기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퀴즈] 사드가 무엇이길래 중국이 보복까지 하며 반대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12회] 냉전의 사생아 ‘사드’는 어떻게 탄생했나? 3. [이달의 사물] 사드 전자파(
전자기
파) ※ 편집자 주 과학이 어렵고 딱딱한가요? 과학 상식과 생활 정보를 머리 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OX퀴즈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최신 과학 정보부터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 정보까지! 새로운 형식의 ...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도 등장… ‘특수 반도체’ 개발 열풍
동아사이언스
l
2017.01.11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가장 방사선에 강한 소재와 부품만을 모아 원전용
전자기
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정경민 원자력연 원자력융합기술개발부 책임연구원은 “이 성과를 원전작업용 로봇 등에 실제로 적용해 나가는 한편, 한층 더 방사선에 강한 반도체 칩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 ...
2017년 새해 첫날, 당신에게 1초의 시간이 더 생긴다
과학동아
l
2016.12.31
이 수치는 조석력 외에 다른 힘이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었다. 이들은 핵과 맨틀 사이의
전자기
력 변화와 빙하의 이동이 지구의 자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라고 설명하며, 그 주기가 대략 1500년 정도일 것으로 추정했다. 화산이나 지진, 계절의 변화도 지구의 자전 속도에 영향을 준다. 이들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리뷰’에 대칭성 깨짐 메커니즘을 일반화한 단독저자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전자기
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기약력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1970년대 키블은 관심을 우주로 돌려 고에너지물리학과 응집물리학 이론을 적용해 초기우주에서 일어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을 ...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개발 성큼… 핵심 선형가속기 성능 ‘이상 무’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역할을 한다. 길이 5m의 선형가속기는 FM라디오 대역인 81.25 메가헤르츠(MHz) 주파수의
전자기
파를 만들어 각 입자를 500킬로일렉트론볼트(keV) 에너지로 가속한다. 우리나라는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해 올해 7월 세계에서 8번째로 이 장치를 완성했다. 정순찬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은 “빔 ... ...
위조지폐·위조여권… 적외선만 쪼이면 한 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이용해 새로운 위조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은 나노와이어 표면의 전자가 진동할 때
전자기
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해 적외선을 쪼였을 때 또렷한 가시광선이 나오도록 만들었다. 이 기술은 진품의 인증 라벨을 복제하거나, 떼어내 다시 사용할 수 없어 보안성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위조방지 ... ...
1000조 분의 1초 잡는 ‘초정밀 광센서’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4
빛은
전자기
장이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현상이 존재한다. 이 현상을 통해
전자기
기의 에너지 준위를 조절한다면 고속 동작 광소자를 제작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이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2차원 반도체인 이황화레늄이 레이저 빛을 받으면 에너지 준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 ...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11.21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상상도. 화살표는 태양과 비슷하게 흐르는
전자기
장을 나타낸 것. - Harvard-Smithsonian Center 제공 태양계 밖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가 태양을 닮았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천체물리학센터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을 관찰한 결과,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
전자기
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것”이라며 “뇌를 이해하는 기술적인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 ...
적외선 → 가시광선 바꾸는 ‘나노필름’ 나왔다
2016.10.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진은 금속 표면에서 자유전자가 집단으로 진동해
전자기
파를 생성하는 나노 구조체인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구조체’에 나노 형광체를 접목해 이 장치를 개발했다. 나노 형광체는 플라즈모닉이 빛을 더 잘 모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과 기존 장치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