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언어 유전자’는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유전자가 있음이 발견됐다. 이 유전자가 퍼진 시점이 20만 년 전이 아니라 세 인류의 공통
조상
이 존재하던 최소 50만 년 이전으로 올라간다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들 고인류의 게놈을 처음 해독한 것은 2002년 연구 총책임자였던 페에보 소장이었다. 이 유전자에 의한 고도의 언어능력이 현생인류의 ... ...
에볼라 바이러스의 감염유전자 활용하는 박쥐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25
윗수염박쥐 종이 가진 VP35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1800만년 전 박쥐
조상
이 고대 에볼라 유사 바이러스로부터 감염된 뒤, 그들의 유전자를 되레 면역에 적용시키는 방향으로 진화시켰다고 추정했다. 테일러 박사는 “윗수염박쥐와 현대의 에볼라바이러스의 VP35 유전자 염기 ... ...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 특이한 식충식물 BEST 3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23
발견된 가장 오래된 식충식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다. 식충식물 사라세니아의
조상
으로 추정되는 아르카에암포라의 상상도(왼쪽)와 화석(오른쪽). - Mariana Ruiz(W)/Acta Botanica Gallica 제공 ● 2. 최고의 대식가 식충식물 2009년 필리핀의 팔라완섬에서 발견된 ‘네펜테스 아텐보로이(Nepenthes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걸쳐 확산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프리카에서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
인 호모 속
조상
이 처음 등장한 것은 약 280만 년 전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호모 속 이전의 인류가 진출했을 가능성도 있다. 지리적 난관을 극복한 점도 눈길을 끈다. 이상희 미국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e메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물린 채 묵묵히 사람을 태우고 다니지만 몸에는 그 옛날 들판을 마음껏 뛰어다니던
조상
의 피가 흐르고 있다. 어느 날 우연히 우리의 빗장이 풀려있는 걸 발견한 말이 탈출을 감행해 꿈을 이룬 게 암세포 아닐까. 그렇게 해서 소원은 풀었지만 제멋대로 돌아다니다 주변 기물을 부수고 지나가는 ... ...
초거대 공룡의
조상
은 2억년 전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0
선캄브리아기와 고생대를 지나 중생대 때 번성했다. 지구에 처음 출현한 공룡의
조상
은 현재의 오리나 닭과 같은 작은 두발 동물과 비슷한 크기였으리라 추정된다. 이어 두발로 걷는 무게 10톤(t)급 거대 육식 파충류가 나오고, 약 70톤의 무게를 자랑하는 네 발 용각류 공룡이 뒤를 이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는 모두 난민이다
2018.07.01
이상합니다. 예를 들어 베링기아 대륙을 거쳐 북미에 도착한 아메리카 인디언의 최초
조상
은 고작 70명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칠레 남단까지 진출하는데는 불과 천년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로 추정한 인류의 이동경로. 인류는 다른 대형유인원과 달리 끊임없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주먹도끼의 반격...인간은 힘 합쳐 자연과 싸우며 진화했다
2018.06.10
집단 크기도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밝힙니다. 이 세 결과를 연결하면 인류의
조상
은 평균 148명의 집단을 이루고 살았으며, 이를 위해서는 하루 중 42%의 시간을 털고르기에 보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런데 하루의 절반을 털고르기를 할 도리는 없습니다. 하루 시간 중 30% 이상을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새와 비슷하다(오른쪽) - 사진 GIB 제공 이 교수는 “다만, 중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
격인 ‘관롱’과 ‘딜롱’의 깃털 화석이 발견돼 티라노사우루스도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벨로시랩터의 경우 2007년 깃혹(깃털이 달린 돌기·quill knobs)이 있는 앞발뼈 화석이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이 유전자 군이 처음 출현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만년 전으로, 약 600만년 전 공통
조상
으로부터 침팬지와 인간이 갈라진 뒤 약 300~400만년이 지난 뒤라고 추정했다. 피데스 연구원은 “세 가지 돌연변이 유전자군이 생기면서 NOTCH 신호 작용이 활발해져 방사성 신경교세포가 증가했으며, 이것이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