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7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언어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2종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LMM '콜라보'와 '모아이'는 단순히 모델의
크기
를 키우거나 고품질의 시각적 지시 조정 데이터셋을 만들지 않고 멀티모달 대형언어모델의 시각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뇌를 구성하는 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이 별세포가
크기
와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반응성 별세포'라 부른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인 가바는 일반적으로 주변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석 결과 오히려 신경병증성 통증이 ... ...
우주 여명기, 합쳐지는 '퀘이사 쌍'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합쳐지는 병합 퀘이사 쌍이 발견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천문학자들은 초기 우주의
크기
가 작아서 은하끼리 합쳐질 가능성도 컸을 것으로 생각한다. 자연스럽게 은하 중심부의 퀘이사가 합쳐지는 경우도 많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그동안 우주 여명기에서 두 퀘이사가 병합하는 사례를 찾지 못했던 ... ...
부모 4명 중 1명 "아이, 불안감에 못 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아이들이 밤에 편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려면 건강한 '수면 의식'이 필요하다. Needs_Phot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린 아이들도 ‘취침 전쟁’을 벌 ... 스피커를 아이 침대와 최소 2m 이상 떨어진 곳에 두어야 한다. 연구팀은 "백색소음의
크기
는 50dB(데시벨)을 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 ...
기후변화 시대 원전 안전 위협하는 해양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미래에 원전 안전에 문제를 줄 정도는 아니라고 예측하면서도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원전 안전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구체적 규제요건은 전 세계적으로 미비한 상황이다. 기후변화의 직간접적인 악영향이 ... ...
[잠깐과학] 1937년 6월 4일, 쇼핑 카트 최초 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15
골드만은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서 마트의 수익을 높일 방안을 고민했어요. 바구니의
크기
를 키우면 물건을 더 담을 수 있지만 바구니가 무거워 사람들이 들고 다니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1940년 실반 골드만은 쇼핑 카트에 대한 특허를 승인받았다. 퍼블릭 도메인 제공 그러던 중 ... ...
어금니는 왜 움푹 파여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15
자르고 으깨면서 서서히 닳아 몇달 안에 매끈해집니다. 어금니처럼 음식을 먹기 좋은
크기
로 잘라낼 뿐 잘게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게 아니기때문에 홈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사람의 치아뿐만 아니라 개를 비롯한 일부 포유류 동물의 앞니도 처음엔 오돌토돌하다가 나중에는 매끈해집니다. ... ...
입으면 땀에서 '포도당 수치' 감지하는 웨어러블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이하의
크기
에서 물성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나노구조체를 섬유에 전사해 웨어러블을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섬유의 굴곡진 형상과 나노구조체의 낮은 표면 접착력으로 기능성 섬유를 제작하는 데 ... ...
6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승규 교수…해양 미세플라스틱 이동·축적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일으킨다.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플라스틱 물질이 어떤 형태와
크기
로 얼마나 배출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플라스틱이 축적된 지역과 해당 지역에 축적된 양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김 교수는 먼저 해양을 연안, 대양, 극지방으로 나누고 수심에 따라 표층, ... ...
로봇이 음식쓰레기·재활용품도 구분…복잡한 인간 촉각 모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하지만 로봇은 사람만큼 물체를 분류하지 못한다.
크기
와 모양이 비슷한 물체나
크기
와 모양이 다른 동일한 유형의 물체는 인식 과정에서 혼란을 겪는다. 데이터 학습이 불충분하게 이뤄진 물체도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고 여러 잡음이 물체 인식을 방해하기도 한다. 사람이 눈을 감고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