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맞춤"(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3년 상반기 민간활동 지원 사업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5.07
- 국민이 연령과 계층에 상관없이 고루 과학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청소년·성인·가족) 지원, 과학문화 격차해소(사회적배려계층·지역특성화)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청소년부문 17과제, 성인부문 4과제, 가족부문 8과제, 사회적 배려계층부문 16과제, 지역특성화부문 ... ...
- 새 정부 5년, 과학기술계가 바라는 복지는?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퇴직과학기술자 활용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확충사업(테크노닥터)'는 이런 수요 맞춤형 지식?기술 전수 프로그램의 성공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퇴직과학기술인들이 테크노닥터가 되어 중소기업에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단지 자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다. 한 중소기업은 ... ...
- 해양바이오에너지의 신세계에 도전하다KIMST l2013.05.03
- 일반성분 및 생리활성성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 전처리 해수를 이용한 저가의 맞춤형 미세조류 배양 배지 개발, 지방 변환 및 당화 효소 관련 유전자원 다량 획득(지방변환 관련 효소 18개, 당화 관련 효소 189개), 해조류 고압균질 전처리 공정 도 입을 통한 당화물 수율 증대, 해조류 ...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타이밍’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미국과 유럽은 현재 각자 지역에 맞는 맞춤 바이오에 몰두하고 있지만, 3년 이내에 인구 38억의 아시아로 본격 진출할 것”이라며 “우리 바이오산업에게 주어진 시간은 3년뿐이며 우리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한국은 바이오 ...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자신에게 발생할지 모를 질병을 예측하는 시대가 오게 됐다고 당시 떠들썩했다.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열 수 있는 유전체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금, 연구를 주도한 김성진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장의 포부도 남다르다. ● 개인 유전체 연구에서 한국 입지 강화해야 “제 유전체를 ...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동아사이언스 l2012.08.28
- 강조하는 이유는 “줄기세포를 떠나서는 생명공학을 논할 수 없으며”, “줄기세포는 ‘맞춤형 치료’나 ‘세포 치료’ 같은 새로운 영역을 여는 가능성을 쥐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0여 년 전만 해도 뇌는 아주 어린 시절에 형성되고, 성인이 되면 뇌 신경세포는 죽을 뿐 새로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이유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흑색종 치료제는 이런 유전자 전체의 효과를 감안한 ‘개인 맞춤형 치료제’다. 김 교수는 또 신약 개발에서 ‘여러 후보군’을 마련하는 것이 실패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가 실패하면 바로 다음 후보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해놔야 안전하다는 것. 작은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한의학은 체질별로 약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한국에서 ‘맞춤형 신약’에 더 빨리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강 박사는 한국의 임상연구 기반에 대해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의사가 모든 것을 관리하지 않고 환자의 병력과 부작용부터 혈액 채취, DNA 등 ...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4.11
- ▽ 정은경 과장=보건복지부는 암, 심뇌혈관질환 등 사회적 부담이 큰 질병 극복, 맞춤․재생 의료와 같은 첨단 의료기술, 전염병, 저출산 등 보건복지 위기대응기술개발을 위한 R&D에 집중 투자를 할 것이다. 특히 민간투자가 어려운 희귀 질환이나 결핵 대응 R&D를 강화하고, 치료 뿐만 아니라 질병을 ...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동아사이언스 l2011.06.21
- 특허 출원 수를 헤아려 평가하는 기존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정 원장의 계획이다. 분야별 맞춤형 평가 지표를 적용해 연구 성과 평가방식을 새롭게 만들 생각이다. “생명현상을 해석하는 기초연구는 논문을 발표하기 쉬워요. 하지만 특허를 받고 실생활에 상용화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품화에 ... ...
이전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