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명예"(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 학술지 ‘네이처’ 4월 20일자에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 MIT 바이스 명예교수가 쓴 드레버의 부고가 실렸다. 이를 바탕으로 그의 삶과 업적을 살펴본다. 1931년 영국 비숍턴에서 태어난 드레버는 공학자인 삼촌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전쟁 잔해로 TV수신기를 조립하며 놀았다. 초중고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2017.01.03
- 발견자)의 괴리는 구태라며 화학의 통합을 강조해온 존 로버츠(John Roberts) 칼텍 화학과 명예교수가 100년에 가까운 삶을 뒤로 하고 눈을 감았다. 1918년 미국 LA에서 태어난 로버츠는 LA 캘리포니아대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치고 몇몇 대학을 거쳐 1952년 칼텍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 칼텍은 20세기 가장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사회적으로 잘 나가는 집단과 가치관에 편승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약자가 명예기득권이 되는 현상이 부분적으로는 이렇게 나타나는 것인가 보다. GIB 제공 이 외에도 오랜 차별에 노출된 사람들은 자기의 집단 정체성을 싫어하게 된다는 연구들도 있었다. 예컨대 “흑인이지만 나도 ...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09.02
- 뜻한다. 도움| 이정행(미국 나약대 수학과 교수), 김도한(서울대 수리과학부 명예교수), 전형국(여명학교 수학 교사) 참고 논문| 김진숙, 박수련, 이나연의 외 참고 도서 김도한, 신정선의 ...
- 소득 높을수록 퇴직소득세 증가한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6.08
- 씨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자. 김 씨는 20년 동안 적립한 법정퇴직금 1억 2,000만 원과 명예퇴직금 2억 8,000만 원을 합쳐 총 4억 원을 수령할 예정이다. 김 씨는 개편된 세제에 따라 세금으로 약 2,400만 원을 납부해야 한다. 이는 퇴직소득세가 개편되기 전과 비교할 때 490만 원이 더 많은 금액이다. 이는 ... ...
-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의 성공 사례2016.02.24
- 큰 기여를 했다. 본격적인 보급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교토대 마츠시타 가즈오 명예교수의 집에 설치된 가정용 연료전지 에너팜. - 마츠시타 가즈오 제공 2009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에너팜은 2015년 현재까지 12만 5000대 이상이 보급됐다(2030년에는 530만 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 년 미국으로 건너가 1970년 미국 시민권을 얻어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을 때도 시카고대 명예교수로 있었는데 그 뒤 여생을 보내기 위해 모국으로 돌아왔나 보다. 1921년 도쿄에서 태어난 남부는 1942년 도쿄대에서 이론물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나서 징집돼 레이더 프로젝트에 투입됐다. 전후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3명의 과학자인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의 토머스 린달 명예 교수, 미국 듀크대 폴 모드리치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아지즈 산자르 교수에게 돌아갔다.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뉴클레오티드라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티드는 염기, 당, 인산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2015.12.26
- 화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기면서 분광학, 인공지능을 도입한 유기합성 등 2002년 명예교수로 물러날 때까지 많은 연구를 진행했다. 제라시는 신텍스의 주식을 판 돈으로 캘리포니아에 광활한 땅을 사들여 SMIP(Syntex Made It Possible(신텍스 덕분)의 약자)라고 불렀고, 폴 클레를 비롯해 유명 화가의 작품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거쳐 1965년 예일대에 자리를 잡은 버너는 2007년 은퇴할 때까지 42년 동안 봉직했고 이후 명예교수직을 유지했다. 버너는 퇴적물에서 광물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수식화했고 퇴적물 속성작용(sediment diagenesis)이라는, 생물적 화학적 과정이 개입되는 분야를 개척했다. 그는 이 과정이 궁극적으로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