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에 우유 넣으면 항염증 효과 두 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결과 커피 속 폴리페놀과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항염증 효과가 늘어난 사실을
확인
했다. 마리엔 룬드 교수는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항염증 반응은 굉장히 빨리 일어났다"며 "마찬가지로 단백질로 구성된 다른 식품에 과일 또는 채소를 결합했을 때 유익한 항염증 반응이 ... ...
'사탕수수'에서 찾은 새로운 항생제 후보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실험물질을 개발하고 폐렴균, 녹농균, 살모넬라균에 대해서도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
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길라로프 교수는 “알비시딘이 세균과 싸우는 구조를 이해하게 됐다”며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병원균에게도 매우 강력한 알비시딘은 가장 흥미로운 항생제 후보 중 ... ...
물만으로 전기 만드는 '수분 자가 발전'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유동·확산·반응·정전기 등 4종의 물리현상으로 설명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작해
확인
했다. 그 결과 수분 자가 발전에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핵심 원리가 통념과는 다르게 탄소 표면에서 물과 화학반응을 통한 이온 생성과 수소이온(H3O+)이 이동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 ... ...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포함된 세균의 유해성을 최초로 밝혔으며 미세먼지의 노출에 의한 호흡기 손상의 원인을
확인
하고 이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후속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유해성 인자를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과체중 임신부의 수면무호흡증은 조산 위험신호"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임신부에게 수면무호흡증은 임신 후반기 임신중독증 발생을 알리는 유의미한 신호임이
확인
됐다” 며 “과체중 임신부에게 수면무호흡증 정밀 검사가 적극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
"우주를 손끝으로 탐험"...국내 첫 NASA 점자촉각도서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의외로 간단했다. 저작권과 로고를 명시해달라고 요구하고 촉각모형 인쇄 기술에 대해
확인
하는 과정 등이 전부였다. 강 실장은 "점자촉각도서와 함께 오디오파일을 함께 제작하겠다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완성된 점자촉각도서는 점자도서관과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에 배포됐다. ● ... ...
"과학이 사회적 낙인 제쳤다"...美, 동성‧양성애자 헌혈 차별 철폐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위해 미국 전역 1600명의 동성‧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혈액 샘플을 채취해 안전성을
확인
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성소수자 관련단체는 이번 지침 개정에 환영을 표했다. 토니 모리슨 미국 글래드 대변인은 “동성애자에 대한 헌혈 제한을 철폐하는 것은 우리가 오랫동안 요구해온 것”이라며 ... ...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일어나는 중간 단계에서 ‘준안정 상태’를 거칠 수 있다는 직접적 증거도 처음으로
확인
했다. 준안정 상태란 열역학에서, 상변화가 일어날 온도를 넘었는데도 앞의 상에 머물고 있는 상태다. 논문의 제1저자인 김예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박사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복잡한 장비 개조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을 뛰어넘는 단백질 합성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정지코돈으로 쓰고 나머지 UAG, UGA 두 개를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쓰고 있는 것을
확인
했다. 연구는 단백질 합성의 생화학적 과정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3분의 1 이상의 유전질환과 상당수의 암은 정지코돈이 너무 빨리 나타나는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사랑의 호르몬' 옥시토신을 차단한 후 애착관계 유지를
확인
하는 실험에서 사용된 프레리 들쥐. 나스타시아 굿윈 제공 뇌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호르몬’이라고 불린다. 감정을 조절하며 타인과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짝과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