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DNA 가닥을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요.이번에 개발된 로봇은 DNA가 단백질을 만들 때
사용
하는 효소와 단백질을 운반하는 *RNA를 이용했어요. 이들은 서로 약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블록을 조립하는 것처럼, DNA 가닥들을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답니다. 또 DNA 가닥들이 조립되면서 움직이게 할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앞으로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다 보면 우리가 직접 만든 석기를 어떤 활동에
사용
하는지 포착할 수도 있을 거예요.이번 연구는 인간처럼 직접 석기를 만드는 동물을 찾았다는 점에서 진화 연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답니다. 박사님들이 우리를 더 자세히 연구하고 싶다고 도움을 요청해서 이제 가 봐야 ...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미사일을 연구하던 이스라엘의 가브리엘 이단 박사가 개발했어요. 미사일에
사용
할 작은 카메라를 만들던 이단 박사는 내시경 검사가 무척 괴로운데다, 소장은 찍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삼키는 내시경을 만들었지요.처음엔 카메라 성능이 좋지 않아 사진을 컴퓨터로 처리해야 볼 수 있었어요.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스포트라이트가 비치는 행사장 배경을 바탕에 깔면 고양이의 멋진 쇼 완성! 이처럼
사용
방법이 쉽기 때문에 스크래치는 코딩 교육에 널리 이용되고 있어요. 또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는 컴퓨터 사고력을 익힐 수 있지요.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일어날까요? 석고의 주성분은 황산칼슘(CaSO4)으로, 깁스붕대나 분필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
되는 재료예요. 황산칼슘은 물분자와 잘 결합하지요. 그래서 석고가루에 물을 넣으면 물분자에 황산칼슘이 달라붙으면서 가루들이 하나의 큰 덩어리로 굳는 거예요. 분자들이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하기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대기 중에 공기가 많을수록 물체가 떨어질 때 받는 저항은 커져요. 그럼 특별한 장치를
사용
하지 않더라도 물체의 속도는 어느 정도 줄어들게 되지요. 하지만 화성처럼 공기가 적을 경우엔 착륙선의 속도가 매우 더디게 줄어들어요. 그래서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낙하산과 역추진 엔진이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에서 열린 에 다녀왔습니다. 돔 전체가 영화 화면이 된다고 생각하니 설렜어요.영화 ‘생명의 빛, 오로라’에서 세계 곳 ... 중 절반은 틀렸더라고요. 이제 여러분도 올바른 맞춤법을 알았으니, 혼동하지 말고 바르게
사용
해 주세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산소를 차단하거나, 또는 온도를 발화점 아래로 낮추면 되지요.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소화기의 경우 통 안에 압축된 질소 가스와 함께 ‘제1인산암모늄’이라는 가루가 들어 있어요. 이 가루를 불에 뿜으면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암모니아(NH3)’ 가스가 생겨요. 이 암모니아 가스가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척삭동물, 절지동물처럼 골격이나 살아가는 방식을 바탕으로 동물을 큼직하게 분류할 때
사용
하지요. 그런데 버제스 셰일 동물군 안에는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35개 동물문의 대부분이 속해 있어요.그래서 고생물학자들은 이 시기를 ‘진화의 실험장’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마치 앞으로 지구에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내는 이유는 대부분 짝짓기와 연관이 있어요. 상대방을 유혹하는 구애의 수단으로
사용
하는 거지요. 또 새들은 소리로 새끼들을 한데 모으거나 위험을 경고하기도 한답니다. 그럼 공룡도 노래할 수 없었니? 깃털이 달린 공룡 화석들이 많이 발견되면서 조류가 공룡으로부터 진화했다는 사실이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