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등에 황록색 또는 황색 부분과 짙은 녹색 부분이 모자이크 모양으로 얼룩이 나타나
결국
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며 마른다원소의 특정 X선의 진동수(파장의 역수)와 원자번호의 관계에 관한 법칙 1913년 H G J 모즐리가 실험적으로 증명했으며, N H D 보어의 원자모형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한 동시에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물질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분자에 흡수된 특정 파장대 빛의 에너지가 줄어들어 있다.
결국
분자가 많이 존재할수록 빛이 흡수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는 흡광도(absorbance)에 비례한다’는 비어-램버트의 법칙(Beer-Lambert’s law)에 따라 특정 성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복잡한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진부하다. 튜브는 사회 권력층에 대한 비판이라는 주제 의식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결국
테러범 강기택과 그를 쫓는 말단 경찰 장도준의 대결 구도와 갈등으로 치닫고 만다. 정작 튜브라는 영화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이들은 단역으로 등장한 배우들이다. 그들은 할리우드 재난영화의 공식을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물론 필연적으로 가계, 기업 등 모든 에너지 소비자의 경제활동 변화를 초래하므로
결국
경제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우리나라는 철강, 화학, 시멘트 등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소재산업의 비중이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산업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배출과 경제활동은 선진국보다 더 ... ...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처리기술 개발사업단 박상도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을 갖고 있지 못하면, 무작정 에너지를 줄일 수밖에 없다.
결국
국민경제에 큰 타격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처리기술은 지구의 환경과 경제를 동시에 보호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이다. 박 단장은“우리나라가 10-20년 후 선진국으로 완전히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터져나왔다. 촛불에 아무리 구리관을 가깝게 해도 보트가 잘 나아가지 않던 조는
결국
촛불이 심지에서 가까울수록 오히려 온도가 낮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이제 아이들의 배는 신나게 달렸다. 오늘 배운 내용이 정말 재미있었다며 다음번에는 무엇을 배울지 벌써부터 궁금한 눈치다.한달 후 서울의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런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유전자 소멸과 새로운 유전자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
결국
변형된 유전체는 세대를 거쳐 전달되며, 수백만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는 화석으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지금 살고 있는 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면 수백만년 전에 살았던 생물의 역사를 알 수 있다.최근에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날(청천일수)이 80여일에 지나지 않지만 이곳은 모두 2백50-3백일의 청천일수를 보인다.
결국
북반구와 남반구에 각각 3대씩 설치되고 나면 총 6대의 탐사망원경이 국제네트워크를 구성해 언제나 밤하늘을 감시·관측하는 것이다. 별이 지지 않는 천문대라고 할까.이 프로젝트에 동원되는 망원경에는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존재하는 인간 사회나 동물의 세계에서 협력이 이뤄지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기심이
결국
자신을 망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일까. 잠깐 생각해보면 이것은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배반자가 되고자 하는 유혹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어떻게 이기적인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런데 이들의 2/3 이상이 하나라도 없으면 효모의 생존에 치명적인 결과를 준다.
결국
우리는 ‘효모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많은 연결선 수를 가지고 핵심 역할을 하는 허브 단백질들이 개체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력은 연결고리가 몇개에 불과한 대부분의 단백질에 비해 3배 이상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