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어과동 명예기자들과 함께 직접 원전에 가 보기로 했어. 과연 괜찮을까?나슬기의 진기명기 노트 ➌ 지진이 나도 원전은 멀쩡하다?월성 원전 1호기는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중수로 원자로야. 고리, 영광, 울진에 있는 다른 원전과 함께 싸고 안전한 전기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지.규모 7.0의 강진에도 ...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물체가 몇 개 나타날까요?”미션4 소금쟁이를 물에 빠뜨리려면?“오호호호! 드디어 두 명만 남았군요. 썰렁홈즈가 마지막에 남아 우승자가 될지 정말 궁금하네요. 그럼 마지막 문제 나갑니다~!”물위에 떠서 걸어 다니는 신기한 곤충이 있다. 노린재목에 속한 소금쟁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런데 ... ...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벌로 생각했을 정도로 무서운 자연현상이야. 낙뢰를 한 번 맞았다 하면 10명 가운데 8명은 그 자리에서 죽을 정도지. 몸에 최대 100만A의 전류가 흘러도 살아남을 자신이 있다면 내가 도와줄…, 그렇게 고개를 세차게 젓지 않아도 싫은 거 충분히 알겠으니까 그만해. 그러다 쓰러지겠다…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도리도리 젓고 계셨거든. 아, 또 엄마에게 속았다.“깔깔깔. 저 ‘김민지 괴담’도 유명한 도시괴담이야. 홍콩할매귀신, 빨간마스크 괴담도 정말 무서웠는데….”“여보야, 그 전에 비행기부터 타자…. 또 우리 이름 불릴 것 같거든?”아빠의 재촉에 벌떡 일어나 급하게 걸음을 옮기던 엄마가 갑자기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어떤 특성이 있길래 이렇게 지역마다 발견되는 종이 다른 걸까요?슬로건 4 함께 찾는 생명, 더불어 사는 지구지구사랑탐사대에 참여하면 생태연구 방법을 익히고 곤충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어요. 자연을 보존하는 게 왜 중요한지, 환경이 파괴되면 어떤 ... ...
- 화려하면서도 수수한 이슬람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이번 여름에는 무엇을 하면 좋을까?우헤헤, 여름에는 역시 모험! 보물이 가득한 섬으로 떠나볼까?보물? 그렇다면 실크로드를 건너온 화려하고 멋진 보물은 어때?앗, 소문으로만 듣던, 그 이슬람의 보물을 말하는 거지?응. 1400년 동안 왕실에서 수집한 보물 3만 여점 중 367점이나 볼 수 있대.그럼 함 ... ...
- [과학뉴스] 중국 우주정거장 프로젝트 ‘착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1호는 중국이 2011년에 발사한 실험용 우주정거장이에요. 크기가 작아 아직은 우주인 세 명만 들어갈 수 있어요. 산소나 물도 20일만 사용할 수 있답니다. 그래도 톈궁 1호 덕분에 선저우 10호에 탑승한 우주인들은 보름 동안 우주에 머물며 여러 실험을 할 수 있지요. 이전에는 중국 우주인들이 6일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독자들만큼은 나와 친구들에 대해 자세히 알았을 거야. 일부 진드기나 곤충이 사람 생명을 위협하는 병을 옮기기도 하지만 생태계를 위협하면서까지 우리를 죽이지는 말아 줘. 우리와 사람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주길 바라며, 나는 이만 풀숲으로 돌아갈게~. 모두 안녕~!특집 한 걸음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단지 시대를 너무 앞서간 천재였을지도 모른다. 직류와 교류가 아닌 다른 전기가 발명되지 않는 한, 최종 승자의 자리는 결국 에디슨이 차지하게 되지 않을까 ... ...
- [과학뉴스]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판단하고 분열을 정지하거나 스스로 죽는다. 이 때문에 텔로미어는 생물의 수명과 노화의 비밀을 밝힐 핵심열쇠로 취급된다.연구팀은 1966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남녀 5620명 혈액 세포에 있는 유전자에서 텔로미어를 측정했다. 1995년에서 1997년에 걸쳐 텔로미어를 조사하면서도 그 시기에 실험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