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는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일축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하령
박사
는 “백신에 면역증강제를 첨가할 경우 일시적으로 근육통이나 발열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안전성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강석연 과장도 “신종플루의 면역증강제로 쓰인 스쿠알렌은 계절 독감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돌핀은 일종의 범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 바닷속 암반에 고정시킨 구조물이다. 조성민
박사
는 “10만t급 대형화물선이 속도 10노트로 충돌하더라도 교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장대교량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으면서 경관 설계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깥에 나오는 순간, 불순물이 들어갈 수 있고 공기가 닿는 일만으로도 성질이 변한다.이
박사
는 “LCD(액정소자) 이후의 디스플레이 소자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나 미래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할 때도 정밀한 표면분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소식을 보내 왔어요. 푸에르토리코에서 배가 고장 나 한 달 넘게 발이 묶여 있던 권영인
박사
님은 결국 배를 포기하고 자동차를 이용해 탐사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고 해요. 앞으로는 답사기 형식으로 탐사한 내용을 보내 주신다고 하니 기대해 주세요~. 다윈을 찾아 떠나는 도심여행2009년 4월,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상이란다.진짜 웃음이 행복을 가져온다2001년 미국의 리안 하커
박사
와 대처 켈트너
박사
는 30년 전 대학교 졸업 앨범에 찍힌 여성들의 모습을 연구했다. 졸업 앨범 사진 속에서 진짜 웃음을 지은 여성과 가짜 웃음을 지은 여성을 구분한 뒤 현재 얼마나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요즘 어딜 가나 자동판매기(이하 자판기)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학교나 지하철역, 백화점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마다 설치돼 있기 때 ...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저서로는 ‘어린이를 위한 맛있는 금융이야기’ ‘맞아맞아
박사
님과 놀며 배우는 뽀뽀뽀 꼬마경제놀이터’ 등이 있다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정받아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에릭 매스킨과로저마이어슨이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함께 받았습니다. 이들은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개인,기업, 국가 간의 갈등을 서로 화해시키는 체계를 만드는 데 공헌했습니다.1969년 노벨 ... ...
역대 이그노벨상 수학상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찍어야하는지를 연구한 팀을 선정했습니다. 호주의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의 피어스반스
박사
와 과학저술가인 닉 스벤슨은 20명 이하의 사람이 사진을 찍는다면 밝은 곳에서는 사람 수를 3으로 나눈 수만큼, 어두운 곳에서는 2로 나눈 수만큼 사진을 찍어야 한다는 것을 계산해 냈습니다. 만약 15명이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섬유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는 줏주아나 동굴에서 발견됐다. 그루지야 국립박물관 고생물학협회 엘리소 크바바제
박사
와 미국 하버드대 인류학과 오퍼 바요세프 교수의 연구팀은 고대 식물의 꽃가루를 조사하기 위해 채취한 구석기시대의 지층 샘플에서 약 3만 년 된 야생 아마 섬유를 찾아냈다고 밝혔다.이 연구 결과는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유로운 연구실을 만드는 것’이다. 실제로 마이크로RNA연구단은 석사과정 학생이나
박사
후연구원부터 김 교수까지 모두가 동등하게 의견을 내고 아이디어를 주고받을 정도로 자유롭다. 그는 연구단에서 마이크로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하게 예상한 성과도 이렇게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한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