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번 특집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지난 한달 동안 ‘어린이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이 많아 함께 취재하고 싶다고 응모한 독자입니다. 친구들이 생각하는 예쁜 몸매는 어떤 것인가요? 어른처럼 늘씬한 키에 잘록한 허리, 갸름하다 못해 뾰족한 턱, 군살 하나 없이 기다란 다리… 인가요? 그런데 최근 ...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들었어요. 이 주사기로 녹색 형광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세포에 주사하자 아래 사진처럼 세포에서 녹색 형광 빛이 나왔답니다. 세포가 망가지지 않고 DNA가 정확하게 전달됐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금 주사기를 이용해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약물을 세포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할 ... ...
- [시사] 수학자의 예술혼, 세계문화유산으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물의 도시, 이탈리아 베네치아에는 사진을 막 찍어도 화보가 되는 멋진 성당이 있다.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이키는 이 성당은 종탑에 올라서면 베네치아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어 관광명소로 손꼽힌다.그런데 이탈리아 북부에는 이런 운치 있는 건물이 한두 개가 아니다. 특히 ... ...
- [생생 포토 뉴스] 고등과학원, 국내 최초 수학난제연구센터 설립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세계 7내 수학 난제를 우리나라에서 풀 수 있을까? 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고등과학원에서 국내 최초로 수학난제연구센터(CMC, Center for Mathematical Challenges)를 설립했다. 수학난제연구센터는 고려대학교에 자리를 잡았으며, 11월 18일에 개소식을 열었다.수학난제연구센터는 장기간의 국제적인 협력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온라인 게임을 하다 보면 게임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일종의 전자 화폐인 게임머니를 얻게 된다. 이 게임머니를 사용하면 게임 안에서 다양한 아이템을 살 수 있다. 그리고 종종 게임을 하다 보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게임머니를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최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삼각형 ABC와 삼각형 GAD가 합동. 그리고 또 삼각형 HGE와 삼각형 BHF는 합동이므로, 결국 선분 BA와 AG는 길이가 같고…. 휴~, 머리 아파. 증명은 정말 어렵고 머리 아픈 일이야. 공식은 그냥 외우면 되지, 왜 증명을 해야 되는 거냐고!”“저…, 저기. 안엄밀 군. 증명 때문에 힘들어 보이는데, 여기 이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20세기 최고의 기하학자로 손꼽히는 천싱선은 지난 2004년에 9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위대한 기하학자였을 뿐 아니라, 젊은 수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최고의 스승이었으며, 세계 도처에 명성 있는 수학연구소를 설립한 탁월한 리더이기도 했다.중국 지성사의 자랑천싱선은 청나라 시대에 ... ...
- [체험] 메리 크리스마스 코흐 눈꽃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빠, 올해 크리스마스엔 눈이 올까요? 크리스마스 이브부터 함박눈이 내렸으면 좋겠어요.”“하나는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꿈꾸는구나. 그 소원을 담아 크리스마스 트리 맨 꼭대기에 코흐 눈꽃을 달아 볼까?”“코흐 눈꽃이요? 이건 언제 만드셨어요? 저도 만들어 보고 싶어요.”“그럼 이 눈꽃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예를 들어 우리가 찍은 사진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수정할 때도 수학이 활용된다. 사진에 찍힌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할 때, 잡티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 ...
- [수학뉴스]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속담이 있다. 그런데 수학적인 감각도 아주 어린 나이에 알아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대 심리신경과학과 엘리자베스 브라논 교수는 숫자 감각이 좋은 아이는 생후 6개월에 그 특성을 드러낸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