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킬리피시▶발렌자노 교수팀은 킬리피시의 수명이 짧은 이유를 유전자에서 찾았다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먼저 킬리피시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종족을 이어가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시킨 유전자를 알아냈어요. 이 결과를 유난히 수명이 긴 브랜트박쥐, 북극고래,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유전자에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중 어떤 문제든 푼 사람에게는 100만 달러(한화 11억 5630만 원)를 상금으로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P≠NP인지 P=NP인지 증명하라는 문제입니다. P가 특정한 횟수 안에 풀 수 있는 문제의 집합이라면, ‘NP’는 문제의 풀이과정을 보고 그 문제의 답이 맞는지 특정한 횟수 안에 확인할 수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남자가 여자보다 길을 더 잘 찾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자가 여자보다 해마 부위를 더 많이 사용하 ...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발표됐 ... ...
- [News & Issue]“지켜보고 있다” 쓰레기 투기 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쇄된 전단지가 다른 전단지에 비해 길에 버려질 확률이 4배 가량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자전거 도난을 주의하라는 내용의 홍보물을 남성의 눈 사진을 넣은 디자인과, 넣지 않은 디자인 2가지로 제작했다(왼쪽 사진). 그리고는 이것을 교내에 주차된 자전거 316대에 부착한 뒤, ...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않기 위해 생체전기신호를 조절한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생물학’ 2015년 12월 2일자에 발표했다.상어는 다른 동물들의 몸에서 나오는 미세한 전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갑오징어는 평소 AAA 건전지보다 150분의 1 약한 10~30밀리볼트(mV)의 생체전기를 띠는데, 상어가 다가오면 대사를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운전 중에 골목에서 갑자기 사람이 튀어나온다면? 생각만으로도 아찔한 사고에 대비해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헤리엇와트대 제 ...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온라인판 2015년 12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DNA를 다시 분석한 결과 외부에서 온 유전자가 54개로,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이 발표한 6600개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에든버러대 연구팀은 노스캐롤라이나대의 샘플이 외부 DNA에 오염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은 ‘사이언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사이언스’ 2015년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때문에 붉은털원숭이는 본의 아니게 인간을 대신해 무수히 많은 실험의 대상이 돼야 했다. 생명과학 실험은 물론 심리학, 사회학 실험까지 도맡아 했다. 인간을 위해 희생된 원숭이를 생각하며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신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탐색해왔다. 그 결과 지난 수 년간 주목할 만한 성과들이 발표됐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포유류에 속하는 쥐에선 불안, 공포 반응, 중독, 우울증과 같은 여러 정신질환 모델이 이미 오래 전에 구축됐다. 특히 이러한 연구는 특정 정신질환과 연관된 신경회로를 규명하는 데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레텔 전략’입니다. 지난해 9월 김민수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팀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헨젤과 그레텔이 빵가루를 흘려 지나온 길을 표시하듯, 저희도 침입자를 공격하러 출동하는 길에 ‘CXCL12’라는 화학물질로 흔적을 남깁니다. T 세포가 바로 CXCL12를 뒤따라 침입자가 있는 곳을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