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3
이상형으로 만들었으니까요. 로드림 : 네. 세컨드라이프는 가면을 쓰고 제2의 삶을 사는
데
, 자신이 원하는 가면을 선택할 수 있거든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03
실제로 탄소 감량에 성공한다고 해도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
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저배출 가정에 포함됐던 주부 이영희 씨의 가족 역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탄소 감량에 성공했지만 최근 이사를 하면서 탄소 배출량이 다시 늘어난 경우다. 4인 가족인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003
가동률을 높이고 대체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연구 기간이 2년 가까이 걸리는
데
다,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1년 안에 하나로 설계를 변경한다고 해도 다른 연구를 전면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막심한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 2500억 원을 들여 새 원자로를 짓는다고 해도 2016년 이후에야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동시에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지도는 정보를 공유하고 효과적으로 업무를 협력하는
데
필수불가결하게 이용되고 있다.영상지도로 호주 원주민의 전설 밝혀내기도과학의 발전 때문에 우리는 지구의 대부분을 이미 알고 있는 듯한 환상에 빠져 있다. 그러나 인류는 아직까지 지하공간은커녕 지구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03
“이 연구가 공격성향과 같이 복잡한 행동이 신경체계에 입력되는 경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해요.싸울 때 맞아도 남자가 참을 수 있는 이유 아이들의 싸움이 끝났어요. 선생님이 오셔서 싸우는 아이들을 떼어 놨어요. 갑자기 남자 아이들이 울기 시작해요. 여자 친구가 옆에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03
연구를 할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더 많이 떠오른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다른
데
보다 높은 천장’을 들었다.집중력 향상에 낮은 천장, 치매 환자 거주 공간에 운동시설과연 천장의 높이가 연구원들의 창의적인 발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미국의 신경과학자들과 소비자 행동을 연구하는 ... ...
‘왕눈이’ 동물들의 특별한 취미
과학동아
l
201003
매달리는 것을 좋아한다. 엄지가 크고 튼튼한 덕분이다. 하지만 팔다리가 연필처럼 가는
데
다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고, 몸의 균형을 잡는 꼬리가 없어 나무에 오를 때 몇 번씩 쉬어야 한다.로리스들은 나무에 거꾸로 매달린 채 사랑을 나눈다. 로리스가 살고 있는 작은 공간(동물원) 안에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03
깨끗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관심 조직에 형광물질로 염색을 한 뒤 빛을 쪼였는
데
조직 내에 들어 있던 자체 형광물질이 같이 들뜬 상태가 되면 불필요한 정보까지 얻게 된다. 하지만 파장이 1064nm의 빛은 피부조직 속의 자체 형광물질을 들뜨게 하지 않는다. 파장이 1000nm 이상인 빛으로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03
창의성이 매우 중요한 분야다.“건축공학이라고 하면 창의성과 상관없는 분야인 줄 아는
데
, 건축환경계획은 창의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죠. 평소 주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 ...
기초 학업 위에 스펙 뒤따라야
과학동아
l
201003
전공에 대한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본다. 흔히 특기자 전형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
데
, 특기자 전형과는 개념이 다르다. 특기자 전형에서는 눈에 띄게 발현된 특별한 능력을 보지만, 입학사정관 전형에서는 그 잠재력을 평가한다. 즉 특기자 전형이 열매를 보고 평가한다면 입학사정관 전형은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