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치제어 기계가 등장했던 배경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0
세기
중엽 미국에서는 금속절삭을 위한 공작기계가 두가지 형태로 개발됐다. 하나는 ‘기록-재생’ 기계다. 노동자의 작업내용을 자기테이프에 기록한 다음 기계가 노동자의 작업을 그대로 반복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수치제어’ 기계다. 노동자의 작업과 상관없이 미리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0
세기
의 허리를 싹둑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은 한국. 그때 시작된 분단은 50년에 걸쳐 한민족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의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하면 혈액이 합쳐져, 이를 통해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물려진다고 생각했다.다윈과 19
세기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됐음을 지적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수도승인 그레고어 멘델(1822-1884)이었다. 그는 1856년부터 7년 동안 완두콩 교배실험을 통해 씨앗마다 어떤 유전형질을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경우 ... ...
미리 가보는 21
세기
나의 직업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21
세기
에는 어떤 직업들이 유망할까. 새로운 밀레니엄을 이끌어갈 사람들에게 이 물음은 최대의 관심거리다. 그 중 과학과 관련된 직업은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의 핵심이다. 오늘 패기있는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을 통해 미래의 직업세계를 그려보자.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이는 곧 과학기술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제 21
세기
의 직업세계에서 과학이 어떤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은 우리들의 몫이다.마이클 H.하트가 지은 '세계사를 바꾼 사람들' 이란 책에는 인류역사를 통해 세계사를 바꿀 만큼 큰 족적을 남긴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갈 것이다”라고 힘주어 말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이것은 바로 네트워크의 시대인 21
세기
에 네트워크 보안전문가가 할 일이 무궁무진함을 의미한다.또 그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새로운 시스템이 구현되더라도 해킹은 계속 될 것이다”라며 “해킹의 방법과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서로 꼬리에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으로 이루어진 세계였던 것이다(24).3. 현대의 미술가들 - 그림은 삶이 아니라 물질이다20
세기
초 현대미술가들은 그림이 거짓말이라고 주장하고 그림에서 이야기를 지워버렸다. 한번 생각을 해봐라. 측면에서 보면 1mm 밖에 안 되는 이 원의 캔버스 위에 수백m나 되는 깊이를 내고 입체를 표현하는 일은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병을 나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사제들 또한 예수가 병을 고친 기적을 강조했다. 그러나 17
세기
에 과학혁명이 일어나면서 예수의 기적적인 치유능력은 비현실적인 것으로 무시된다.1858년 프랑스 남부 산골의 작은 마을인 루르드에 사는 한 소년가 동굴에서 성모 마리아의 모습을 보았는데, 마리아의 ... ...
2차대전의 비극 원자폭탄과 생체실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지나온 20
세기
를 되돌아 가면 과학자에 의해 자행된 두번의 엄청난 피잔치를 만난다. 하나는 생체실험이요. 다른 하나는 원자폭탄이다. 슬픔과 분노를 삭히기에는 너무 큰 사건이지만 세월은 흘러 슬픔에 잠긴 자를 잠들게 하고 분노로 치떨던 이들의 이름마저 하나씩 지워가고 있다.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않느냐”고 반문한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 갈 길이 먼 것은 사실이다. 왜냐하면 뇌파는
세기
가 약하므로 증폭해야 하는데 증폭과정에서 노이즈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 실시간으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도 필요하다. 물리학과(고려대) 출신인 그가 다양한 분야의 책을 뒤적이고 사람을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