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 수업이 살아 있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선생님 대신 학생들이 칠판 앞에 섰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노래와 율동, 소림사 권법에 기합까지 넣는다. 문학이나 음악, 체육 시간이 아니다.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의 수학 시간이다. 그런데 선생님이 아니라 학생이 수업을 이끌어 가고 있었다. 학생이 수업을 받는 게 아니라 수업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한테는 아주 많은 형제자매가 있어~. 검은 흙에 덮여서 몸집을 열심히 불릴 때마다 우린 서로 장래희망을 이야기하지. 몸집이 작고 동그랬던 감자는 인간의 휴게소에서 파는 통감자구이가 되고 싶다고 했고, 엄청난 덩치를 자랑하던 감자는 세계에서 가장 긴 프렌치프라이(감자튀김)가 될 거라 ... ...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손 위에 살포시 앉은 새 한 마리가 보인다. 혹시 날아갈까 봐 살금살금 다가간다. 빛깔에 현혹돼 저절로 손이 먼저 나간다. 새는 움직이지 않는다. 슬쩍 날개를 만져 본다. 어라? 가짜다!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너! 종이였다. 만지면 퍼드덕하고 날아가 버릴 것 같았는데, 깃털이 모두 종이로 된 새 ...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아빠, 엄마와 무조건 국적이 달라야 한다면 어떨까? 이게 무슨 말도 안 되는 뚱딴지같은 소리냐고? 실제로 호주 서쪽 데그레이강 유역에 사는 토속 원주민인 카리에라족이 그렇다. 결혼도 정해진 특정 분족하고만 해야 하고, 태어난 아기는 아빠, 엄마와 전혀 상관없는 분족이 된다. 그들은 대체 왜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느덧 추운 겨울의 끝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제 조금만 있으면 따뜻한 바람이 언 세상을 녹여 주겠지요. 그런데 남극에 사는 새들에게는 오히려 여름이 끝나는 시기예요. 훨씬 더 추운 겨울보다는 덜 추운 남극의 여름을 새들은 어떻게 보냈을까요?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새 전문가 김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일본은 우리의 이웃나라로 가까워서 여행지로도 인기를 많이 끌고 있어요. 그런데 일본의 전통 문화 곳곳에 수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동양대 이만근 교수와 함께 일본의 전통 수학 문제인 산가쿠를 찾아 떠나 봐요~조선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은둔의 나라일 수밖에 없었지만, 일본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린 시절 누구나 흰 종이에 빽빽하게 계산 문제를 푼 경험이 있을 것이다. 버튼 몇 개만 누르면 결과가 나오는 계산기가 있는데 이게 무슨 소용인지 싶다. 계산기만 있으면 어떤 수학 문제도 거뜬할 거 같다.수학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계산기는 도우미일뿐, 수학은 인간만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앗, 갑자기 눈이 부셔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푸른색 빛이 나타났다 사라진 것 같은데…. 뭐라고요? 인공 태양이라고요? 태양은 하늘에만 떠 있는 줄 알았는데…. 어떻게 지구에서 태양을 만들어낸 걸까요? 국가핵융합연구소에 비밀을 풀 열쇠가 있대요. 명예기자들과 함께 그 열쇠를 찾아 출발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위이잉~. 띠, 띠, 띠, 땡!”전자레인지로 잘 알려진 ‘전기 오븐’의 계절이다. 불과 30초 만에 차가운 호빵에 김이 나게 만들고, 3분 만에 밥을 짓기도 한다. 그런데 이 전자 오븐은 사실 ‘우연한 사건’으로부터 탄생한다. 핵심 키워드는 ‘따뜻한 주머니’와 ‘초콜릿’이다.“이 찝찝한 기분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독자 기자가 대전으로 출동했다. 목적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독자 기자의 뜨거운 탐구 열기로 추운 날씨마저 한풀 꺾였다는 소문이 돌던데…. 그곳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