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룡에 대한 지식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에요. 또한 화석을 보면서 실제 공룡의
모습
을 상상하고,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의 환경을 예측하면서 창의력이 쑥쑥 향상된답니다.송효준 기자 : 공룡 연구와 창의력이 서로 관련 있다니 놀라워요! 혹시 올해 교수님께서 계획한 목표가 있으신지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치기 시작 하는 거야. 그러더니 조선왕조실록에서 쓰여 있는 것처럼 용이 승천하는
모습
이 보였어. ‘용이다 용!’ 하고 나도 모르게 소리쳤지. 그런데 알고 보니 용오름이라는 기상현상이지 뭐야! 용이 승천하기 때문에 용오름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용오름을 보고 사람들이 용이 승천한다고 ... ...
르네상스 걸작에서 찾은 원근법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모두 피렌체다.피렌체를 가로지르는 아르노 강을 따라 걷다 보면, 독특하고 아름다운
모습
을 자랑하는 베키오 다리가 보인다. 그 강가에 우피치 미술관이 있다. 미술관에 들어서자 르네상스 이전부터 시대별로 방이 배열돼 있어 번호 순서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미술사의 흐름을 볼 수 있었다. 여러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다를 건너 새로운 대륙으로 진출했다. 그 과정에서 그 지역 환경에 맞게 적응하는
모습
도 보였다. 인류에게 다른 지역으로의 진출은 본능이었는지도 모른다.2 도시 집중이 불러온 매력적인 인구 폭발도시는 사람을 부른다. 최초의 도시 탄생 과정도 역시 사람을 불러 모으는 과정이었다. 첫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일정 비율로 섞어 만든 것으로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키더라도 열을 가하면 다시 원래의
모습
으로 되돌아오는 재료다. 이 재료로 세 가지 근육을 만들어 벼룩의 해부도대로 연결했다. 근육 위에 가벼운 복합재로 몸체를 만들고 몸체 안에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구리 회로를 넣었다.구리 회로에 전류를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식한 사지마비 환자들이 생각만으로 텔레비전 채널을 바꾸거나 웹서핑을 즐기는
모습
이 공개돼 큰 호응을 받았다.생각과 의도를 읽는 기술은 반대로 뇌에 생각을 넣는 데 쓸 수도 있다. 외부에서 뇌의 특정부분을 자극하기만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식어가는 우주 속에서 어떻게 은하와 별들이 태어났을까. 별의 최후는 어떤
모습
일까. 이 모든 것들의 순환과정을 알 수 있을까. 완벽한 진실은 결코 알 수 없겠지만 과학과 이성의 눈으로 상상이 가능하고, 이는 억지가 아닌 논리를 통해 검증되어 간다. ‘실락원’과 ‘실명의 노래’로 유명한 1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정작 피디가 되기 위해 해야 할 공부에 대해서는 자신없는
모습
을 보이는 K양에게 상담 선생님은 단호하게 말했다.“꿈을 이루고 싶은 사람이 자신 없다고 주저앉으면 꿈을 이루지 못하는 거야. 미친 듯이 노력해서 꿈을 이루는 거야. 그런 각오 없이 상담하러 온 건 의미가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스 토너 불꽃으로 내부 공기를 가열해 비닐이 팽팽하게 부풀어 위로 솟아오르는
모습
을 직접 보고 확인했다. 열기구와 바구니 모두 보통의 모양과는 달랐다. 학생들의 창의성이 듬뿍 들어가 있다.학생들은 1학기 때 유압식 크레인을 만드는 활동부터 시작한다. 주사기의 압력을 이용해 크레인을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급속도로 늘고 가축과 인구의 집중화가 심해진 현대에 더욱 커졌다.[유럽의 전염병
모습
을 묘사한 1411년 삽화.]150년 전 ~ 현재7 인류세인류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되고, 인구 역시 폭발적으로 늘자 20세기 중반 일부 국가는 산아제한 등으로 인구를억제하려는 노력을 했다.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