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백악관에 편지를 보내 엔터프라이즈로 바뀌었다. 엔터프라이즈는 스타트렉에
등장
하는 우주선이다. 엔터프라이즈는 엔진이 없었기 때문에 보잉 747기의 등에 업혀 활공 연습을 했다.최초의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는 1981년 4월 12일 우주비행에 나섬으로써 새로운 우주여행 시대를 개막했다. 과거의 ... ...
피타고라스의 음정 이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를 ${}^{12}$$\sqrt{2}$≒1.0595 로 정해야 한다. (무리수가 이 곳에도
등장
하는데, 이런 비는 수학자 메르센(Marin Mersenne, 1588-1648)이 처음으로 제시했다.) 그러므로 평균율에서 음정은 반음씩 증가하는 등차수열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진동수는 일정한 비율 ${}^{12}$$\sqrt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이식하는 실험이 진행된다면 ‘복제양 돌리’와 마찬가지로 ‘복제인간 아무개’가
등장
할 수 있다.굳이 배아가 아니더라도 배아에서 떼내 길러낸 기간세포 역시 비슷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동물의 경우 기간세포는 ‘특정한 장기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동시에 완전한 개체로 자랄 수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것이다. 백악기에 나타난 꽃 피는 식물인 피자식물이 바로 그런 식물이다. 피자식물의
등장
으로 거대한 목긴공룡들은 쇠퇴하고, 그 대신 몸집이 작고 잘 씹을 수 있는 이빨을 가진 오리주둥이공룡들이 번성해 또 다시 피자식물을 먹기 시작했다. 일방적으로 식물로부터 먹이를 공급받기만 한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수 없는게 현실이다.흔히 언론이나 방송에서 ‘사람 심장 달린 돼지’라는 표현이
등장
한다. 하지만 현단계 과학수준에 비추어볼 때 이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즉 ‘사람에게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돼지의 심장’을 잘못 받아들여 표현한 결과다. 사람끼리의 장기이식도 거부반응이 있는지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기상청은 작년 여름 7월29일에 장마가 끝났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7월 31일부터 8월 17일 까지 수백mm에서 최고 6백mm가 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전국 각지를 옮겨다니면서 엄청난 재해를 남겼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고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고 사라져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불렸 ... ...
로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고등학교에서는 지수함수를 배우고 로그함수를 배운다. 하지만 그 탄생을 보면 로그함수가 형님뻘이다. 수학 시간에만 배운 것으로 기억되는 로그함수를 일상생활 속 ... 탄생했다. 지수 함수를 배운 뒤 이의 역함수로 로그 함수를 배우지만, 역사적으로는 로그가 지수보다 먼저
등장
했다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하고 있다.동서양을 막론하고 남사당놀이와 서커스의 백미는 외줄타기다. 제일 마지막에
등장
해 사람들을 공연 끝까지 잡아두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곡예사가 외줄 위를 걸을 때는 본인은 물론 보는 이들의 숨조차 멈춘다. 일반 사람들에게는 평균대 위를 걷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어떻게 가는 ... ...
인간의 유전자를 이식한 동물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아니다. 인간의 유전자를 동물에 삽입시켜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형질전환동물이 대거
등장
하고 있다. 새로운 유전자로 '무장된' 동물들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이들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라 불린다. 이제 유전자의 기능을 넣는 일 외에도 ‘빼는’ 길이 열린 셈이다.키메라
등장
그렇다면 ‘유전자 적중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상은 어디일까. 수정란이 발달하는 초기 단계의 세포다. 수정란은 2세포, 4세포를 거쳐 분열을 거듭하다 1백여개로 분열된 포배기 상태에 이른다.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