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때문”이라고 말했다. 로웨 그룹 리더도 “굳이 외부 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을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물론 사용한 연구비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지만 한국처럼 매년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고 5년에 한 번씩 연구 성과를 평가한다. 로웨 그룹 리더는 “그룹마다 다를 수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들고 모양을 바꾸면서 연주한다. 그래서 이 악기를 연주하려면 악보가 아니라, 안무가 필요하다. 말로슈는 사람의 행위가 음악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이 악기를 만들었다고 2014년에 열린 NIME(음악적 표현 인터페이스) 국제학회에서 밝혔다. 그래서일까. 스파인으로 연주하는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활약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그러자면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가진 거대 데이터의 공유가 필요하다. 공동연구가 늘어나야 할 이유다. 김민아 실장은 “반도체, 의료, 자동차, 원자력 등 가시화 기술을 활용할 분야는 많다”며 “앞으로 파급력이 늘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양을 연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족한 지식과 능력을 보완해 줄 공동연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좋은 사례다. 수학은 수론과 조화해석학, 기하학, 표현론, 수리물리학 등 많은 세부 분야로 이뤄져 있다. 원래는 각각의 이론을 별개로 생각했는데, 1960년대 후반 캐나다의 수학자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린스턴대가 있었다. 프린스턴대는 미국에서도 손가락 안에 드는 명문대다.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권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밟게 됐다.“그런데 박사 과정을 했던 UCLA와 분위기가 너무 달랐어요. UCLA는 자유로운 분위기인데, 프린스턴대는 경쟁도 심하고 조금 경직된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단풍이 물드는 가을이다. 아직까지 푸른 빛을 간직하고 있는 나무도 곧 누구는 붉은 빛으로, 누구는 노란 빛으로 물들 터다.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고자 하는 이들 ...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심봉사가 있었다면, 백악기 시대에는 공(룡)봉사가 있었다. 공룡이 어둠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간상세포가 덜 발달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대두됐다. 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간상세포의 발생과정에서 색상을 감지하는 시세포인 원추세포의 흔적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원추세포가 먼저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않게 조개 입을 3cm만 열어준 뒤 생식소에 핵을 집어넣으면 되는데, 매우 섬세한 손기술이 필요하다.“어! 핵을 놓쳤어요. 조개 안에 핵이 잘못 들어갔는데 어쩌죠?” 이준원(동성고 1학년) 학생이 당황하며 말했지만 김 연구원은 평온한 얼굴로 “다시 빼면 된다”며 안심시켰다. 뒤이어 실습한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퀴즈 하나. 아래 사진 속 동물 가운데 진짜 동물이 아닌 ‘로봇’이 있다. 무엇일까. 이제 첨단기술은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위해서도 활약하고 ... 필수”라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는 경우는 아직 많지 않지만, 그에 필요한 핵심기술은 이미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뭉치는 현상을 개체군 점성이라 한다. 이 경우, 내유전적 혈연을 번거롭게 식별할 필요 없이, 주변 이웃 가운데 아무나 붙잡고 무차별적으로 도움을 주는 행동이 진화할 수 있다. 해밀턴은 “점성이 큰 개체군을 지닌 종에서는 도움 행동이 가장 흔하고 정교하게 나타나지만, 점성이 낮아 이주가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