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들 별자리에서 별 하나도 찾지 못한 반면 대구 경북대에서는 3, 4개씩 발견됐다. 문홍규
박사
는 “우리나라 인공조명의 심각성을 확인하는 자리였다”며 “10월에도 비슷한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도시인구 비율이 계속 늘어나면서 세계의 밤은 밝아지고 있지만 광공해를 억제하려는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과와 문과의 이분화는 교육 효율성 제고라는 측면에서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처음 맞닥뜨리는 인생의 갈림길에 선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두 계열 모두에 흥미와 적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참으로 어려운 선택을 강요한다. 필자 역시 그 선택의 기로에서 많은 고민을 했다. 하지만 고심 끝에 전공을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중화녹두 1호’를 개발하며 40여 년 동안 농작물 육종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2004년 아시아태평양종자협회(APSA)에서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올 5월 다국적 식물생명공학기업들의 공동체인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다는 사실이다.이승호 교수는 건국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기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에서 1989년까지 공군기상대 예보장교를 지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건국대 기후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기후학’ ‘한국의 기후와 문화 산책’ 외 다수가 있다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아드리안 브릭스
박사
팀은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6명의 화석을 분석한 결과 7만~3만 8000년 전 사이 유럽에 살았던 가임 여성 수가 최대 3500명을 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 ...
오늘부터 당신도 미팅의 제왕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다른 암컷과 짝짓기하는 행위를 보면 구애를 받아들이는 기이한 현상을 보였다. 메리
박사
는 “이런 특징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서도 뚜렷이 드러난다”고 말했다. 동국대 교양교직학부 장대익 교수는 이 현상을 ‘배우자 모방 선택’으로 설명했다. 장 교수는 “암컷이 남들이 선택한 수컷을 ... ...
도시의 전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차이 등으로 설명을 시도하는 학자들이 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한 관심이 너무 부족한 건 아닐까. “육종기술 체험, 강원도로 오세요”우장춘
박사
가 과거의 육종기술 전도사였다면 요즘은 이 과학자가 육종기술을 알리는 데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강원대 원예학과 강원희 교수다.강 교수는 5년 전부터 매년 과학에 관심 많은 학생과 과학교사를 모집해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
는 “동양배는 교배한 뒤 적어도 5년이 지나야 과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수량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검은별무늬병에 취약하다”며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육종기술을 연구 중”이라고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때먹이가 많았던 칸 대신 다른 물고기들이 찾아갔던 칸을 기억해 따라간 것이다. 켄달
박사
는 “잔가시고기는 크기가 매우 작아 커다란 천적에게 쉽게 잡혀 먹힌다”며 “다른잔가시고기들이 어떻게 먹이를 찾아다니는지 보고 따라가는 습성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잔가시고기가 천적의 눈을 피해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