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건설환경공학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환경이라는 이름이 추가됐다. 그 후 종합적인 교육을 위해 건설환경공학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사회기반공학부 등으로 개편됐다. 해외에서는 토목 및 환경공학(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으로 소개된다. 사회의 기반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대학에 개설돼 있다.4 뭘 배우나요?주요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6mm인 것을 이용해 단위를 km로 바꾸면, 신문지를 42번 접었을 때 두께가 4×105km, 즉 40만km로 지구에서 달까지의 평균거리보다 더 커짐을 알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달에 가기 위해 값싼 신문지 대신 우주로켓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는 신문지를 10번 이상 접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계절이에요. 독감을 일으키는 범인은 바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구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외에도 수많은 바이러스들이 있답니다. 그런데 영국의 한 예술가가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바이러스를 유리 공예로 만들었다고 해요. 어떤 모습일지 한번 만나 볼까요? 우주선을 ...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꾼다. 오늘도 우리는 아리랑2호를 타고 지구를 돌고 있다.[왼쪽은 몰디브의 수도 말레다.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몰디브가 위험해지고 있지만 이 섬은 최근 간척사업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그 옆은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나이아가라 폭포.]나이아가라를 보며 겸손을 ...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분석한 결과 별에 행성이 있을 확률이 목성 크기는 6분의 1, 해왕성 크기는 2분의 1, 지구보다 조금 더 큰 크기는 3분의 2 정도였다. 별에 행성이 있는 건 흔한 일이라는 주장이다.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12일자에 실렸다 ... ...
- 민간우주선 ‘드래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국제우주정거장으로 6톤의 화물을 올려 보내고, 3톤의 화물을 지구로 내릴 수 있다. 지구로 돌아올 때는 낙하산을 펴고 바다에 착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스페이스X사는 드래곤을 개량해 화성 탐사에도 사용할 계획이다 ... ...
- [2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연구에 따르면 두 오염물질이 이산화탄소보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시간은 더 짧지만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더 크다.블랙카본이란 화석연료나 나무를 태울 때 불완전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으로 대기 중에서 열을 흡수해 햇빛을 반사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천연가스(LPG)의 ... ...
- 인공지구야 돌아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가득 채웠어. 이제 실험을 시작하는 건 시간문제야. 과연 래이스롭 교수의 실험이 지구자기장의 신비를 풀어줄 수 있을까? 실험결과가 나오면 꼭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알려줄게 ...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질병 발병의 비밀을 밝히기로 결심한다.유전학은 단순히 생물학의 한 분야가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복잡한 데이터과학이다. 그래서 많은 유전학자들은 동시에 유능한 데이터 분석가이기도 하다. 자료를 효율적으로 비교해 새로운 특징을 밝혀낸다. 많은 데이터는 그 ...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특별히 꿈은 없어요.”“꿈도 공부를 해야 찾을 수 있어. 공부를 해보니 ‘생물, 화학, 지구과학 모두 좋더라’면 그럼 환경공학을 할 수 있지, 그런데 공부를 더 하다보니 ‘건축, 디자인도 재밌는 것 같다’면 환경디자인 건축과를 가면 되지. ‘이 공부가 나한테 맞을까’ 생각하면서 공부하면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