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이런 입자들은 양과 음의 전기를 띠고 있기 때문에 지구 자기장에 의해 포획된다.
결국
지구 자기장은 태양풍으로부터 생물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보호막이 돼주는 셈이다. 연구진은 달의 자기권은 이제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작은 규모라고 밝혔다.시뮬레이션과 관측연구 결합돼야린 교수는 이미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빛의 진행 방향과 액정 분자의 방향과의 차이에 따라 굴절율과 전도율이 달라진다.
결국
액정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량을 조절하는 광 조절 밸브(valve)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한 액정은 적은 전압으로도 분자 배열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이 적고, CRT처럼 전자총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결망이 그랬다. 물론 필자(정하웅)가 연구중인 충무로 네트워크도 예외는 아니었다.
결국
1959년 이후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해 우리의 사고를 지배했던 무작위 네트워크의 이론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척도없는 네트워크라는 이론이 탄생한 것이다.불균일한 척도없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우리에게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의사 가운을 벗고 소프트웨어 벤처업계로 들어선 지 8년이 됐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의사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다. 바로 안철수연구소 안 ... 까마득하고 위를 쳐다보면 봉우리가 구름에 가려 보이질 않습니다. 현재의 성공은
결국
이 정도입니다. 그러니 멈추지 않고 계속 정상을 향해 가야죠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방출할 수 있고, 화면의 형광 물질에 정확하게 부딪쳐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자총의 원리를 갖는 CRT만큼 값이 저렴하면서도 고화질을 구현하고, LCD나 PDP를 능가하는 얇은 평면을 구현할 수 있다. 나노 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현재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 아직 연구를 진행중이만 만능세포인 배아줄기세포로 정자로 분화시키는 방법도
결국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난자를 만드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여성을 위해서는 미성숙난자의 체외수정법(IVM-IVF)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여성은 태어날 때부터 난소에 미성숙난자를 보관하고 있다가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일어난다. 박테리아의 대사 결과물로 생긴 산은 치아의 표면을 녹이고 구멍을 만들어
결국
충치를 발생시킨다.오오시마 연구팀은 한 그룹의 쥐에게는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이 든 물을 먹이고, 나머지 그룹에게는 평범한 물을 먹였다. 물론 두 그룹의 쥐에게는 동일하게 설탕이 듬뿍 든 식단을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하여 영혼을 얻는다. 하지만 생물학자인 필자는 영혼도
결국
하나의 생물학적 현상일 수밖에 없다고 본다. 유전적으로 완벽하게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도 절대로 똑같은 영혼을 갖지 않는 것만 보더라도 영혼이 DNA의 직접적인 표현일 수는 없다. 하지만 생물학은 유전학이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X와 Y가 결합하지 않는다면 GAL4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결국
배지는 푸른색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이 방법의 장점은 대량의 단백질을 대상으로 그 결합 여부(X와 Y가 결합하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X와 Y에 해당하는 단백질은 종류와 숫자를 얼마든지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때 국정감사까지 받아야 했던 기억을 연구원들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하지만
결국
우리 손으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제 로켓 KSR-Ⅲ는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주발사체의 독자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과 관련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