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는 LED 조명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거나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LED 조명은 1초에 300만 번 정도의 속도로 계속 깜빡여요. 이 깜빡임에 정보를 담아 보내면 통신을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조명이 켜졌을 때를 1, 꺼졌을 때를 0으로 정하고 정보에 맞춰 깜빡이는 횟수나 강약을 ... ...
- 시각 장애인도 앞을 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개발한 인공망막 ‘아르구스2’의 임상 실험 결과가 발표됐거든요. 아르구스2는 망막색소변성증 환자들에게만 쓸 수 있는 인공망막 장치예요. 망막색소변성증은 망막의 빛 수용체에 이상이 생겨 야맹증이나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이에요.아르구스2는 망막에 이식하는 작은 칩과 ... ...
-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건 뇌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이 커브볼 착시가 우리의 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우리가 움직이는 물체를 보고 있는 동안에는 망막에 상이 맺히는 위치도 계속 달라져요. 이때 물체가 시야 가운데에 있으면 물체가 움직이는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물체가 시야 중심을 벗어나면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다빌라 로스 교수팀은 사람과 침팬지의 웃는 표정이 굉장히 비슷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잠비아 침팬지 보호구역에서 침팬지 46마리의 표정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뒤, ‘ChimpFACS’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람이 웃는 얼굴과 비교한 거예요. 그 결과 비디오를 보고 침팬지가 웃을 때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올해 3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야생에 사는 판다 개체수가 1864마리로 늘었다고 발표했거든요. 10년 전보다 16.8%나 증가한 숫자랍니다.‘1600 판다+’들은 7월 말까지 우리나라에 머무를 예정이에요. 6월 말까지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시되다가, 7월 2일부터 7월 29일까지 서울 롯데월드몰 잔디정원과 ...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너희를 모두 수컷으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며?맞아요. 앞에서 얘기했듯이 우리 이집트 숲모기는 산란기의 암컷 모기만 사람들의 피를 먹고 살아요. 그러면서 황열과 뎅기열을 옮기죠. 그래서 사람들은 암컷 모기만 없앤다면 병에 걸린 사람들이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다. 현재 시제품에 가까운 뉴로모픽은 대부분 SRAM이나 DRAM을 이용한다. 지난해 IBM이 발표한 뉴로모픽 프로세서 ‘트루노스(Truenorth)’ 역시 SRAM을 이용한다.그렇다면 뉴로모픽은 기존 컴퓨터와 어떤점이 다를까. 핵심은 ‘연결망’에 있다. 뉴로모픽은 여러 개의 코어들이 서로 구분되는 물리적인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않도록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호주 경제평화연구소가 11월 17일 발표한 세계 테러리즘 보고서에 따르면, 테러 희생자 수는 15년 전에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이대로라면 21세기는 테러의 시대가 될지도 모른다. 특히 테러는 언제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없다.먼저 학생들은 랩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서울대 인권센터에서 올해 7월 발표한 ‘2014 서울대학교 대학원생 인권실태 및 제도개선 조사보고서(아래 서울대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대 대학원생 중 입학 전에 졸업평균연한, 장학금·일자리,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정보를 공식적인 통로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뇌’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주인공은 진병관 경희대 의대 교수와 남진한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연구원이다. 이들은 어떻게 고추와 파킨슨병을 연결시키게 됐을까. 남진한 연구원을 전화로 인터뷰했다.Q 어떻게 이런 독특한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