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성큼성큼 움직여 간다. 그런데
달
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잘 살피면 보름
달
에서 다음 보름
달
까지의 주기가 29.5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고대인들은 삭망월이라고 불렀다. 항성월과 삭망월의 차이는 지구의 공전 때문에 생긴다. 밤하늘의 구역정리행성이나
달
,태양의 움직임을 쫓아가야 했던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름이 수km 정도밖에 퍼지지 않는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레이저를 이용해 지구에서
달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있다.또다른 특성은 공간의 아주 작은 지점에 빛에너지를 강력하게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보통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레이저와 렌즈만을 사용해도 태양 표면에서의 빛의 세기 정도까지 ... ...
Y2K스트레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통해 감상하기 때문에 극장영화나 텔레비전과는 판이하게 다를 것" 이라며, "텔레비전과
달
리 어두운 곳에서 혼자 보는 극장영화의 맛을 인터넷영화도 지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예카가 인터넷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는 뜻.예카에는 스타급 배우가 등장한다. SBS카이스트에서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결투에서 죽게되자 불사의 몸을 가졌던 폴룩스가 제우스에게 그의 형을 죽지 않게 해
달
라고 애원해 별자리가 됐다고 전한다. 형제는 오리온자리 북쪽으로 ‘ㄷ’ 자 모양으로 어깨동무를 한 채 겨울 은하수 속에 발을 담그고 있다. 두 별은 연관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폴룩스는 34광년, 카스토르는 ... ...
미리 가보는 2025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1세기가 눈 앞에 펼쳐진다.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가 한껏 부풀어 있는 요즘, 사람들의 관심사는 '과연 언제쯤 어떤 일들이 이뤄질까' 에 모아지고 있다.
달
에 사람들 ... 로봇은 등장할까 등 21세기의 숙제로 남았던 많은 문제들이 2025년의 세계에서 어떻게 그려지는지
달
려가 보자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달
표면에 전파망원경이 설치되고 원자력 발전소가 만들어질 것이다.● 2025년아폴로의
달
착륙은 옛 얘기. 이제는 유인 우주선을 타고 화성에 도착하는 우주인을 보게 될 것이다. 그 밖에도 목성이나 토성처럼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행성의 성분을 조사할 수 있는 샘플채취가 가능해진다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방사성 폐기물은 대체로 반감기가 매우 짧다. 따라서 밀폐된 탱크에 모아놓으면 한두
달
뒤 방사선이 거의 없어진다. 그후 고성능 필터로 남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고 방사선감시기로 검사한 다음 무해하다고 판단되면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액체 방사성 폐기물들은 액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물론 둘다 암컷이다.이제 인간복제는 시간문제가 됐다. “누가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하고 연구자들은 서로의 눈치만 볼 뿐이다. 인간복제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장기를 제공할 수 있고, 당뇨병이나 암과 같은 불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돌파구라고 그들은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
은 하현
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있었을 것이다.사람들은 흔히 시와 노래에서 과학이 있을 자리는 없다고 한다. 아폴로가
달
에 착륙함으로써 토끼가 사라졌다고 억울해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잘 사용할 줄 몰라서 그렇지 과학의 눈은 아름다움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는 눈이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에 작용하는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곳 사이의 거리나 측정하는 대상이 보이는 각도를 알면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달
까지의 거리도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보이는 위치를 측정해 구할 수 있다. 우리들이 눈앞에 있는 것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도 뇌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서 보이는 것이 다른점을 이용해 판단하고 있기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