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1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묘사한 이미지로, 이번에 EHT가 관측한 블랙홀은 이보다 훨씬 가운데에 자리한 블랙홀의
핵심
의 모습이다. 10일 밤 10시(한국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기자회견에서 연구자들이 인류가 처음 관측한 블랙홀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유럽남방천문대 중계화면 캡쳐 이번에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블랙홀에서 사건지평선은 우주물리 분야에서 이론적으로 수많은 논문들이 나오며
핵심
쟁점이었다. 수많은 천문학자들과 우주물리학자들이 사건지평선의 존재를 예측했지만 실제로 관측하는 것과 이론적 계산을 통해 입증하는 것은 다르다. 블랙홀이라는 극단적인 물리 현상을 이론이 아닌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원반이 형성돼 있다. 이번에 관측한 EHT 프로젝트의 영상은 이 이미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핵심
부분의 영상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사진제공 NASA EHT는 은하 한가운데에 존재하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수십억 배 규모의 ‘초대질량블랙홀(또는 거대질량블랙홀)’을 관측했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 ...
인보사 방사선 처리 권고했다지만…해소되지 않는 성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중지된 만큼 세계 첫 세포유전자치료제라는 명성에 금이 갔다. 인보사 문제를 야기한
핵심
요인은 허가 당시 2액에 들어가는 세포가 연골세포로 자료가 제출됐지만 실제로는 신장세포라는 사실이 밝혀진 점이다. 코오롱생명과학측은 "우리도 몰랐다, 실수였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19년이라는 ... ...
원자력 기술 연구 60년 경제효과 164조원...정부 탈원전 기조 속 홀대론 논란도
2019.04.09
원자력연은 원자로,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으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계통 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 울진 3, 4호기에 처음 적용된 이후 국내 원전 중 12기가 한국표준형원전으로 건설됐다.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와 계약을 맺고 공동 건설을 추진 중인 한국형 ... ...
분자생물학의 선구자 시드니 브레너 박사 5일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생명체가 DNA를 유전부호로 활용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방법을 밝히고 이에 관여하는
핵심
물질인 전령RNA(mRNA)를 발견하는 등 1950~1960년대 분자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시드니 브레너 박사가 5일 싱가포르에서 향년 92세로 타계했다. 그는 분자생물학 외에도 지금도 널리 연구되는 ... ...
5G
핵심
기술 개발 정환석 ETRI책임연구원 ‘올해의 기술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ETRI 제공. 5G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와 초저지연 서비스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한 정환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이 ‘올해의 ETRI 기술대상’을 받았다. ETRI는 5일 대전 소재 연구동 7동 대강당에서 창립 43주년 기념식을 열고 올해의 기술대상과 연구자상, ... ...
"AI 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비판적 사고 함양"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질문할 수 있어야 한다”며 비판적 사고를 강조했다. 그가 주장하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
은 감정이나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고 권위에 맹종하지 않는 것이다. 또 그는 “기계는 개별적으로 무언가를 이해할 순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합된 방식의 분석은 할 수 없다”며 시스템적 사고의 중요성도 ... ...
허울좋은 5G 최초 상용화…상상이 현실 되기엔 너무 먼 5G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있다. 하지만 신호 데이터를 주고받는 수준의 초기 개념 커넥티드카 서비스에서 5G가
핵심
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양현종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구글 웨이모와 같은 현 시점에서의 자율주행차는 현재 통신기술과 센서 기술만으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차세대 반도체 성능 좌우할 초박막층 거칠기 관리 기준 세계 최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지점을 최초로 정의하는 데 성공했다. 정보기술(IT)의 발달과 함께 IT 기술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반도체도 진화 중이다. 대표적인 예가 다층 구조다. 기존 반도체의 특징이었던 2차원 구조를 넘어 2차원 박막층을 쌓는 다층 구조가 탄생하면서 반도체는 더 빨라지고 용량도 커지고 있다. 차세대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