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d라이브러리
"
거대
"(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원소의 존재가 바로 이 광물을 통해 밝혀졌다. 지금은 새로운 원소를 찾는 데 가속기라는
거대
장치를 주로 사용하지만,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 대부분은 광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하면서 발견됐다. 색과 결정이 아름답고 희귀한 홍연석은 점차 광물 수집가들의 인기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이곳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향후 더 많은 한국 과학자들이 CERN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계를 강화하고 싶다.
거대
강입자충돌기(LHC)가 낼 수 있는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다. 그보다 높은 에너지가 필요한 실험은 할 수 없다. ‘LHC 시즌2’에서 우선순위로 생각하고 있는 목표는 무엇인가. CERN의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할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변화가 있던 때기도 하다. 기술이 무르익기 시작하면서, 큰 방을 가득 채워야 할 만큼
거대
했던 의료장비들이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작아졌다.사회적인 요인도 있었다. 역사상 최악의 재앙 중 하나로 꼽히는 탈리도마이드 사건이 일어났다. 탈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 독일에서 만들어진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같은 생체구조를 분자 수준에서는 물론, 원자 수준에서도 볼 수 있다.방사광가속기는
거대
한 슈퍼현미경과학자들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해 비아그라의 단백질 결합구조를 관찰해 어떻게 발기부전을 치료하는지 밝혀냈고,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하는 데 공헌하기도 했다.1996년부터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시작해 중생대 쥐라기에 다시 낮아지고, 백악기에는 다시 지금보다 높아졌다. 실제로
거대
곤충이 살았던 시기와 이 시기가 일치한다.물론 산소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도호쿠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오카지마 료코 박사팀이 산소 분압으로 예측한 과거의 곤충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쉴드 TBM’은 암석을 부수고 파편을 외부로 배출하며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는 것까지 자동으로 한다. 사람은 기계를 조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터널이 붕괴되는 등 위험 상황이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커지지 않아 뇌가 앞으로 쏠린 모양으로
거대
주름이 생겼다고 보고 있다.그런데 뇌에는
거대
주름만 있는 게 아니다. 사이에 미세한 잔주름이 가득하다. 이 잔주름도 두개골이 단단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일까. 과학자들은 두개골이 없는 상태에서 뇌를 키우는 실험을 해봤는데, 뇌 주름이 나타나는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타카아키 일본 도쿄대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과 미국 정부가
거대
실험장치의 건설비를 지원한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슈퍼카미오칸데(위 사진)를 이용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처럼 콘트랙트 형태의 지원을 받아서 탄생한 노벨상 수상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살짝 고개를 끄덕였다.“우리 종족은 지구식으로 표현하자면 불간섭주의에 가까워요.
거대
운석이나 혜성과 충돌하게 돼 있는 문명은 여러 번 구해줬어요. 그들에게 알리지 않고 운석이나 혜성을 파괴한 다음 떠나면 되니까. 그게 원칙이었죠. 그런데 이번에는 지구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한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
강입자충돌기(LHC)를 이용해 힉스 입자를 발견하면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2013년)한 프랑수아 앙글레르 명예교수와 연구 성격이 유사하다.두 사람의 공저자 네트워크를 비교한 결과, C 교수의 공동연구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