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d라이브러리
"
녹색
"(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 사용설명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방은
녹색
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도시에서도 국도와 자동차전용도로표지는 바탕이
녹색
이다. 지방에서 자동차전용도로표지는 오히려 청색이다. 표지판 속 수학도로에는 길을 안내하는 도로표지 외에도 수많은 표지가 있다. 이 중 교통흐름과 안전을 지키는 고마운 표지가 있으니 바로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대가’다. 짙은 갈색 나무에 있다가 옅은
녹색
나무로 건너뛰면 갈색에 가깝던 피부가
녹색
빛으로 변한다. 보통 개구리는 등이 매끄럽지만 회색청개구리는 등이 울퉁불퉁해 나무껍질과 구별하기 어렵다. 천적인 부엉이나 뱀에게 들키지 않고, 모기와 파리 같은 먹잇감에게 몰래 다가가 순식간에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면에 있는 렌즈 셋 중 가운데는 RGB카메라다. RGB카메라는 빛의 3원색인 빨강(Red),
녹색
(Green), 파랑(Blue)에 해당하는 색채 정보를 따로따로 감지해 전송해 준다. 일반 카메라보다 훨씬 자세하게 색을 구별할 수 있다. 거리측정용 카메라는 사용자나 벽, 의자 같은 주위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 ...
해파리 단백질로 태양광 발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여기에 자외선을 쬐어주자
녹색
형광단백질은 광자를 흡수한 뒤 전자를 방출했다.
녹색
형광단백질이 기존에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하던 ‘색소증감광전지’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색소증감태양전지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생산단가가 높기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깊은 곳에서는 주로 홍조류가 서식하는 이유를 추론하시오. [전문가 클리닉] 엽록체가
녹색
인 이유는 식물이 광합성에 주로 활용하는 빛의 파장이 붉은색과 청색 계통의 빛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조류의 색은 주로 이용하는 빛의 파장과 관계가 있을 것입니다. 빛이 파장에 따라 물속을 통과하는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담장이 0.9 ~1.5m로 아주 낮지만 왼쪽 담장은 높이가 11.3m나 된다. 거대한 높이 때문에 ‘
녹색
괴물(그린 몬스터)’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광주 무등구장도 가운데 담장 높이가 6.9m다.야구장 방향의 비밀본루에서 투수판을 지나 2루로 향하는 직선은 동북동(북쪽을 기준으로 67.5°)을 향한다. 이 방향으로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지만 두 방법 모두 다음 신호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각 방향마다
녹색
신호를 주다 보니 4번에 1번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직진을 중심으로 하는 신호가 점점 많이 쓰이고 있다. 한 번은 A와 C를 오가게 하고 다음은 B와 D를 오가게 해 2번에 1번 신호를 받을 수 있는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얼음을 긴 원통 모양으로 채취했다.연구팀은 바다와 맞닿은 얼음 끝에 잔뜩 붙어 있는
녹색
미세조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얼음과 맞닿아 있어도 환경에 따라 미세조류의 양과 종류에 큰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며 “처음으로 북극해의 해빙 위에 직접 올라가 구멍을 뚫고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도시는 어떻게 발전하고 망하는지 살펴본다. 또 최근 제기되고 있는 ‘친환경 도시’, ‘
녹색
도시’는 과연 미래도시의 모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본다. 리처드 플로리다 토론토대 교수, 롤프 옌센 드림컴퍼니 최고상상력책임자, 자크 아탈리 플래닛 파이낸스 회장, 미래학자 마티아스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식물플랑크톤은
녹색
색소(클로로필)를 갖고 있다. 육상식물의
녹색
잎과 마찬가지로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포도당)로 바꾼다.연구팀은 “지난 세기에 비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물플랑크톤 수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