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져
레이저광선
광선
광메이저
ipod
ipodmini
ipod 5세대
d라이브러리
"
레이저
"(으)로 총 1,34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하나의 섬유로 동시에 보내는 기술이다. 적외선에서 가시광선에 이르는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
는 무선이동통신의 ‘광대역폭’에 비유해 볼 수 있다.만약 1Tbps로도 모자란다면 광섬유를 한 가닥 더 쓰면 된다. 이 교수는 “유선 통신 기술은 이미 정점에 이르렀으며, 무선이동통신이 이를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보통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는 먼저 클레이(점토)로 모형을 만들어 본다. 형태가 완성되면
레이저
스캔을 해서 3차원 설계도를 구하고, 이렇게 구한 기본적인 설계도를 컴퓨터로 다시 정교하게 다듬는다. 이때 스플라인 함수를 이용하여 특색 있는 곡선을 그려 넣거나, 차체의 곡면을 더 볼록하거나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격자 시계’는
레이저
빔으로 만든 격자 안에 이테르븀 원자를 가두고 다른 유형의
레이저
를 쏴 원자를 진동시킨다. 사실상 원자가 갇혀서 움직이지 못해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이번 결과는 기술적 성취는 물론 실생활에도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원자시계에 1 나노초(10억 분의 1초)의 오차가 ... ...
드론 격추하는
레이저
무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미 해군이 소형 함선을 파괴하거나 무인정찰기(드론)를 격추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무기를 해상에 배치할 계획이다.
레이저
무기체계(LaWS)는 2014년 여름에 시험 가동 예정이다.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대상을 스캔할 때 한 번에 모든 부분을 스캔할 순 없다. 빛은 직진하므로 발사한
레이저
가 닿지 않는 부분은 측정할 수 없다. 한 대상을 스캔할 때 여러 장소에서 스캔한 자료를 합성해야만 최종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3D스캔, 문화재 해치지 않아요3D스캔은 문화재에 손을 대지 않고 측정하기 때문에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움직이지 않을수록 더 차갑다. 1980년대 과학자들은 원자를 가운데 놓고 여섯 방향에서
레이저
를 쏴 원자를 꼼짝달싹 못하게 가둬놓는 방법으로 수만 분의 1K까지 온도를 낮췄다.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볼프강 케테를레 교수팀은 여기에 더해 압력을 낮추고 활발한 원자만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또한 혼돈
레이저
를 이용한 비밀통신방법도 개발했다.
레이저
에 정보 신호를 넣은 뒤,
레이저
의 빛의 파동을 불규칙하게 회전시킨 것이다. 그러면 해커들은 빛의 파동이 회전하는 양을 정확히 구할 수 없어 암호를 해독할 수 없다. 카오스 덕분에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뇌 신호의 카오스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수행한다. 그러나 보다 복잡한 문서 작업까지 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구글의 고민이
레이저
키보드에 담겨 있다.쓰는 안경만으로는 부족했을까. 최근 구글은 ‘말하는 신발’도 공개했다. 입거나 쓰는 컴퓨터에 대한 연구는 꽤 오래 진행됐지만 구글은 실생활에 적용하는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있다. 거기서 나오는 빛을 보면 구성 원소의 종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카메라로
레이저
를 쏠 부위를 고해상도로 촬영한다. 첫 시험 대상은 근처에 있던 ‘N165’라는 바위. 과학자들은 이 바위가 현무암일 것으로 예상했고, 켐캠은 예상이 맞았음을 알려줬다.실험 장비와 이동 장치에 대한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입자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연구팀은 자기장과
레이저
를 이용해 높은 (운동)에너지 준위의 입자가 낮은 위치에너지를 갖고, 또 낮은 (운동)에너지 준위의 입자가 높은 위치에너지를 가지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을 ‘안티트랩’이라고 한다. 또 입자가 서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