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문 분석 AI로 여죄 묻고, 조직 검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똑똑하게 보이스피싱범을 잡으려는 연구소에 다녀왔어. 바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이스피싱범의 목소리를 분석해 범죄 조직단을 그룹화하고, 검거된 범죄자가 이전에 다른 죄를 진 것은 없는지 여죄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만나고 왔어! 목소리가 몽타주를 그린다? AI 수사관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각각 33년, 25년을 복역했다. 두 사람에겐 공통점이 있었다. 감옥에 가게 된 결정적 증거가 바로 치흔, 즉 물린 자국이라는 것이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치흔은 중요한 과학적 증거로 취급됐다. 치흔 외에도 머리카락, 출처를 알 수 없는 혈흔, 총탄 흔적 등 엄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은 증거들이 ... ...
- 따오기, 판다, 기린… 동물 외교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제목의 기사에서 따오기를 우리나라에서 사라진 조류라고 소개했다. 그랬던 따오기가 바로 눈앞에 있었다. 그것도 수십 마리나. 한 주무관은 “2008년 중국에서 따오기 한 쌍(수컷 양저우, 암컷 룽팅)을 들여와 복원에 성공했다”며 “따오기복원센터는 멸종 40년 만이던 2019년에 따오기 40마리를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기기에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에 대한 기대가 특히 높은 분야가 바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입니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와 결합한 웨어러블 전자장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해 자체 전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걷거나 달릴 때, 심지어 심장이 뛰거나 위장이 움직일 ... ...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개인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큽니다. 이런 위험을 해결하는 아주 작은 지문이 있습니다. 바로, 나노 지문입니다. 나노 지문, 샌드위치처럼 쌓아서 만든다 2022년 8월,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팀은 사람의 지문처럼 매번 다른 형태로 나노 크기의 인공 지문을 만드는 ‘나노패터닝’ 기술을 ... ...
- 증명에 도전하는 이유는?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 때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최초로 피타고라스 정리의 새로운 증명법을 찾아 인정받은 수학자가 있는데요. 바로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입니다. 그는 1999년 병역 특례로 재능교육 스스로교육연구소에서 일할 때 초등학생 대상 전국 규모 수학경시대회 문제를 만들기 위해 정사각형을 자르고, 조합하다 새로운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생각하는 부분이 아주 큰 사건으로 번지고는 한다. 화성 정조 과학기지에선 ‘밥’이 바로 그런 문제점이었다. 대원들이 고된 임무를 수행하는데 비해 먹을 것이 너무 형편없었다. 최초 화성 탐사 계획에서는 비용을 아끼고자 최소한의 식량만 우주선에 실어 보냈다. 딱 먹고 살 수만 있는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추측했다. 그 구조를 통과한 지진파가 빠르게 도착했다는 것이다. 그 새로운 구조가 바로 맨틀이었다. 그리고 모호로비치치가 발견한 지진파의 속력이 변하는 지하 약 35km의 경계를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줄여서 ‘모호면’이라 부르게 됐다. 이후 1914년에는 미국의 지진학자 베노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분명 존재한다는 증거가 되기도 된다. 천문학자들은 미스터리한 DF2와 DF4 왜소은하도 바로 이런 충돌 과정에서 탄생했으리라 추정한다. 다만 이 경우엔 충돌한 A, B 은하단이 총알 은하단보다는 훨씬 작았을 것이다. 암흑물질, 은하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오래 전 A, B 두 은하단의 충돌이 발생했고, ... ...
- [논문탐독]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지평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현재 컴퓨터의 구조적 한계가 이런 현상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바로 정보를 저장하고 수정하는 컴퓨터의 방식 자체가 완전히 혁신돼야만 시간복잡도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겁니다.양자를 정보의 저장 단위로 전환시킨 파인만 파인만은 양자적 성질을 가진 매체가 기본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