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름"(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9가 잠깐 잠잠했던 어느 더운 여름, 멘토들과 함께 탐험하며 배우는 ‘탐험대학’의 로켓 탐험가들이 서울 혜화역에 모였습니다. 교과서, 뉴스에서나 볼 수 있던 로켓을 직접 만들어보기 위해서였는데요, 그 탐험기를 공개합니다! 첫 번째 미션, 로켓의 배경 지식을 탐험하라! 2020년 7월 18일, 로켓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부는 아냐~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차차 익숙해졌고 1학년을 마칠 때는 친한 친구와 선배들도 꽤 생겼다. 안타깝게도 1학년 여름방학 후 한국에 돌아와 군대를 가면서 모든 것이 처음으로 돌아갔지만. 군 복무를 마친 2년 뒤 다시 학교로 돌아왔을 때 나는 1학년 때보다 학교생활에 적응하기가 훨씬 더 힘들었다. 신입생들은 서로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술술읽혀요 | 2020 사이언스 바캉스 매년 여름 과학동아가 마련하는 대중 과학강연 행사인 ‘사이언스 바캉스’가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주제로 열렸다. 현재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고 있는 바이러스의 영향으로부터 사이언스 바캉스도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 부연구위원은 “번식을 위해 찾아와 새끼를 키우기 위해 무수한 비행을 하는 여름철새가 월동 안식처를 찾아오는 겨울철새보다 피해가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사 결과는 2019년 발행된 ‘인공구조물과의 조류충돌 현황과 충돌 저감 및 환경영향평가 강화방안 연구’ 보고서에 잘 정리돼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달리 액체 환경에서는 나노입자가 실제와 거의 비슷한 구조를 유지한다. 그러던 2018년 여름 연구단은 액체 셀 속에 들어있는 나노입자가 회전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순간 회전하는 나노입자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뒤 합치면 원자 수준의 영상을 3차원으로 얻을 수 있겠다는 아이디어가 ... ...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입체 영상처럼 보인다. 게임이야, 패션쇼야? AR 패션쇼홍혜진 디자이너는 2018년 봄·여름 시즌 서울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의상으로 런웨이를 증강현실(AR)로 꾸민 ‘AR 패션쇼’를 열었다. 증강현실이란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처럼 실제 공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더하는 기술로, 현실 공간에 가상의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용해야 한다. 현재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는 해빙 활주로가 있지만, 이는 남극의 여름인 10월부터 해빙이 녹기 전인 11월까지만 주로 사용된다. 암반 활주로를 건설한다면 사계절 내내 항공기로 보급품을 실어 나를 수 있다. 이런 활주로 후보지를 사람이 직접 돌아다니며 찾는 것은 불가능에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해빙(海氷·바다얼음)은 여름의 끝자락인 9월에 최소치로 줄어들었다가 겨울 막바지인 이듬해 3월에 최대치로 불어난다. 북극과는 정반대로, 남극대륙 주변의 해빙은 남반구의 겨울인 9월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가 이듬해 2월에 가장 적은 규모로 줄어든다. 그간 9월 북극 해빙은 꾸준히 줄어들었다.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열린 후 한동안은 이때 받은 티셔츠를 입고 다니는 학생들을 많이 볼 수 있다.나는 2학년 여름 방학 인턴십(기업 활동을 체험하며 실무 역량을 키우는 프로그램) 기회를 취업 박람회를 통해 구했다. 한 스타트업 부스를 무심코 지나칠 뻔했는데, 기다리는 줄이 짧길래 가벼운 마음으로 방문했다.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높은 기후변화 분석 수치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또 지금까지는 북극 해빙의 변화를 여름철과 겨울철 해빙의 면적과 두께로만 파악했는데, 여기에 ‘해빙 강도’라는 변수를 새로 추가했다. 해빙 강도는 해빙을 깨는 데 필요한 힘을 나타내는 지표로, 같은 두께의 해빙이라도 해빙 속 공기 방울이나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