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런데 두 라틴방진을 살펴보니 ‘거울대칭(좌우대칭)’인 것 아니겠습니까? 오른쪽 아래 보이는 첫 번째 라틴방진을 거울에 비치면 두 번째 라틴방진이 나오지요. 최석정은 거울대칭 하나만 썼지만, 라틴방진 하나를 대칭시키는 방법은 무려 8가지랍니다. 제가 어떤 연구를 했는지 눈치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음 단계의 하한 값은 항상 크지요. 각 단계를 아래로 뻗는 나뭇가지로 나타낸다면(오른쪽 참고) 윗가지에 있는 하한 값은 무조건 아래 나올 가지의 하한 값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우선 하한 값이 작은 가지부터 계산해서 계산 시간을 줄이지요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한 올 두께보다 작다. 80μm는 사람의 손톱이 5~6시간 동안 자라는 길이와 비슷하다. 오른쪽 박스는 여자의 손을 확대한 것이다. Fragile Elephant_ 부서지기 쉬운 코끼리코끼리가 황량하고 삭막한 풍경 속으로 걸어간다. 모래 언덕 같아 보이지만 실은 사람의 손가락 지문 위다. 코끼리 조각상의 높이는 15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間歇泉)의 한자에는 하품을 하는 사람이 있어요. 한자 ‘쉴 헐(歇)’의 오른쪽에 있는 한자 ‘하품 흠(欠)’은 사람(人)이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을 하는 모양이거든요. ‘쉴 헐(歇)’은 하품을 할 정도로 피곤하니 쉬어야 한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예요. 뜨거운 온천인 간헐천도 쉬어가면서 물을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있는 값이죠. 이 식은 미끄럼 속도를 알 때 점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해 줍니다.오른쪽 그림은 n 값에 따라 점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몇 가지 예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초콜릿은 이 중에 어떤 그래프 유형에 해당할지 생각해보세요. 그동안 저는 초콜릿에 맞는 상수를 찾아오죠.몇 번째 ... ...
- [별난이름 정리]살인마 운전기사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없고 크게 돌아와야 합니다. 만약 도망자가 이 위치에 있었다면, 도망가 버리겠죠.오른쪽 그림은 바로 이런 상황을 나타낸 겁니다. P에서 출발한 살인마의 자동차가 바로 옆에 있는 원 구역에 들어가려면 넓게 한 바퀴 돌아와야 합니다. 즉 이 원이야 말로 도망자에게 안전한 곳이지요. E에서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5월, 새로운 기술로 배아를 14일까지 실험실에서 배양한 연구 논문 두 편이 발표됐습니다(오른쪽 사진).doi:10.1038/ncb33, doi:10.1038/nature17948 인간 배아를 14일까지,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오랫동안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겁니다. 14일의 규칙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전하게 수송할 방법은 무엇일까? 효율적인 전력 수송과 안전한 전력 수송 방법을 오른쪽 표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인류가 불을 발견한 뒤 삶이 변화한 것처럼 전기도 인류의 삶을 변화시켰다. 대부분은 편리한 쪽으로 변화했다. 이제 전기는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다. 그러나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90일이 지나자 이 기억을 잊었다. 그래서 이 공간에 들어가도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았다(오른쪽 그림 1). 어릴 때 기억을 성인이 된 뒤 잊어버린 것과 마찬가지다. 반면 이미 태어난 지 60일 된 쥐(사람으로 따지면 성인)에게 같은 공간에서 같은 전기 자극을 주면 15일, 60일, 심지어 90일이 지나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배아가 발달하면서 소장의 안쪽 층에 있는 세포들은 바깥쪽 층으로 이동합니다(오른쪽 그림). 즉, 안쪽 세포들이 바깥쪽에 위치한 세포들 사이사이로 들어가는 겁니다. 좁디좁은 세포들 틈을 비집고 들어가다 보니 장은 자연스럽게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과학자들은 포유류의 소장 역시 이렇게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