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d라이브러리
"
자재
"(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하지만 초소형 기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카시미르 힘을 극복하는 것을 넘어 자유
자재
로 조절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2005년 하버드대 페데리코 카파소 교수는 에탄올에 잠겨 있는 금도금된 폴리스티렌 구와 테플론 판 사이에 반발하는 카시미르 힘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에탄올과 금,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다.펠프스는 유연한 발목 덕분에 300mm가 넘는 발을 자유
자재
로 움직인다고 하니, 이는 마치 발에 물갈퀴를 찬 것 같은 효과다. 펠프스는 전형적인 돌고래 체형인 셈이다. 그의 돌핀 킥이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문 박사는 “수영선수의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나노미터 크기의 수많은 구멍이 나 있는 소재로 세제, 탈취제 등의 일상용품이나 건축
자재
등 산업용품으로 폭넓게 쓰인다. 지상에서도 제올라이트를 만들 수 있지만,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훨씬 더 고르게 만들 수 있다. 이소연 누나는 4월 12~15일에 균일한 제올라이트를 만들었다.무중력 ... ...
에이~, 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보면 쿠션처럼 부푼 부분이 있어요. 그 곳을 엽침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에서 물이 자유
자재
로 들락날락하죠.”“그럼 물이 들어오면 가지가 팽팽해졌다가 물이 나가면 가지가 축 늘어지겠네요?”“그렇죠! 그래서 마치 가지가 춤을 추는 것처럼 움직이는 거죠. 미모사가 자극을 받고 잎사귀를 ... ...
늘여도 접어도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접거나 구부릴 수 있다면 대단히 편리하겠죠? 자유
자재
로 늘이거나 휠 수 있는 전자회로가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주도한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어요.연구팀은 실리콘으로 만든 기존의 전자회로에서 두께가 수백나노미터(1m의 10억 분의 1)에 불과한 전자소자를 뽑아 냈어요. 이 소자를 유연한 고무에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텀블링을 한 번 하고나면 별이 보일 정도로 어질어질하다. 공중제비란 말은 하늘을 자유
자재
로 날아다니는 제비를 보고 만든 말. 지금은 도심에서 제비를 거의 볼 수가 없지만 예전에 제비가 흔했을 때는 골목길을 돌다가 갑자기 날아드는 제비에 깜짝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제비는 이런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불구하고 쉽게 실현하기 어려운 이유는 건설비용이 만만치 않아서다. 일일이 건설
자재
를 로켓에 실어 쏴 올려야 하니 아직까지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든다. 따라서 이 분야의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은 우주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더 높이거나 건설비용을 줄이기 위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통역사 역할은 물론, 음성으로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을 수도 있다.노키아는 지난 2월 자유
자재
로 휴대전화의 모양을 바꿀 수 있는 미래형 휴대전화 ‘모프’를 공개했다. 모프는 친구와 채팅을 할 때는 휴대전화를 컴퓨터 키보드 모양으로 펼칠 수 있고, 음악 감상을 할 때는 귓바퀴에 쏙 들어가는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디스플레이보다는 훨씬 얇다. 유리 기판 대신 금속박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 자유
자재
로 구부릴 수 있고 잘 깨지지도 않는다. 또 어느 지점에서 구부려도 정면에서 보는 것처럼 형상이 일그러지지 않는다. 기능은 디스플레이지만 외형은 종이에 가까운 셈이다.기본적인 작동원리는 LCD와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많이 모여 살던 곳 주변에서는 소나무 숲이 무성해졌다.금강소나무는 다른 용재수(건축
자재
로 쓰는 나무)와 비교해 재질이 강한 목재다. 궁궐이나 한옥 또는 사찰의 구조를 보면 대부분 수직부재인 기둥과 수평부재인 보와 도리 등으로 이뤄져 있다. 전통 목조건물을 짓는 기본 형식은 먼저 굵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