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환"(으)로 총 1,8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자라게 하는 단백질 KROX20을 찾아냈다. 리 박사는 원래 신경계에 종양이 생기는 희귀 유전질환에 대해 연구하던 중, 신경을 발달시키는 단백질인 KROX20이 머리카락이 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연구팀은 쥐에게 KROX20 단백질이 생기지 않도록 유전자를 제거하는 실험을 했다.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섭취량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5g 이하로 소금을 섭취하면 너무 많이 먹은 경우와 심혈관질환사망률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고, 인슐린저항성, 당뇨 등의 대사 이상이 생길 위험이 있다. 함 교수는 “여러 연구를 종합해 봤을 때 적당한 소금 섭취량은 하루 6~15g 정도로 볼 수 있다”며 “한국인의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다”고 말했다. 당뇨, 알츠하이머, 뇌전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의 질환이 있으면 수면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2단계 ┃ 가장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하라! 숙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허리의 편안함’이다. 박형진 에이스침대 침대공학연구소 과장은 “특히 하루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죠. 또 곡식이나 포도주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도 마련돼 있어요. 심지어 죄수나 정신질환자를 가둬뒀던 곳도 함께 발견됐답니다.더 놀라운 사실은 이런 지하 도시들끼리 서로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지하에 지상의 도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연결 통로가 뚫려 있거든요. 이 모든 것이 변변한 측량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조로 환자들의 유전자를 조사했다. 조로 증상을 보이는 유전질환은 크게 워너증후군, 프로제리아 등이 있는데 노화속도가 각각 2배, 10배 가까이 빠르다.워너증후군은 ‘wrn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wrn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DNA 이중나선을 풀어주는 ...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혈액 속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를 개발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중앙대와 경희대 공동 연구팀은 표면에 나노 두께의 얇 ... 가진 한계를 극복했다”면서 “나노박막은 어느 줄기세포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면역질환, 뇌졸중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생의학 연구파크(PRBB)인데요. 여기에 CRG뿐만 아니라 바르셀로나 시립 의학연구소, 환경성 질환 연구센터, 재활의학연구소 등 총 6개 센터가 입주해 있습니다. 합치면 1500여 명의 생명공학 연구원들이 한솥밥을 먹고 있습니다.그중에서도 CRG는 유전체(게놈) 연구에 특화돼 있습니다. 유전체학 외에도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팀은 후성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많은 경우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암과 심혈관 질환과도 상관관계가 높다고 밝혔다(왼쪽 그래프 참고).나이가 드는 건 막을 수 없다지만, 후성 나이는 예외다. 살짝 늦추는 것이 가능하다. DNA 메틸화 정도로 나이를 예측하는 후성시계를 개발한 미국 UCLA ...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택신-2가 어떻게 노화에 따른 신경세포의 사멸과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키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임 교수팀은 지난 2011년과 2013년에 이미 생체시계 유전자인 ‘피어리어드’가 발현되는 데 필요한 유전자 ‘트웬티-포’를 발견하고, 어택신-2가 트웬티-포를 발현시키도록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유는 활동장애, 보행장애뿐만 아니라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과 같은 2차 노인성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근육은 체내 혈당을 낮추는 주요 기관으로, 음식을 먹으면 혈액에 높아진 혈당을 흡수했다가 공복 시에 이를 다시 내놓는 저수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때문에 적절한 근육량을 유지하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