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의 시작이 통나무를 굴리는 데에서 시작됐다니, 재밌지?! 하지만 바퀴의 진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야. 미래의 바퀴는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지. 공기를 넣지 않아도 되는 바퀴가 있고, 동그란 공 모양의 바퀴도 개발되고 있다고! 공기 없는 바퀴, 에어리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학부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수업을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1년간 학과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수업을 수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모색할 기회를 얻는다.서 씨는 “화학공학과로 진학해야겠다는 생각은 바뀌지 않았지만,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충남 아산 호서대에서 만난 문창범 중이온가속기 이용자협회장(호서대 전자디스플레이공학부 교수)은 이렇게 말하며 라온 건설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라온의 실험시설 7개 중 우선 구축되는 실험 장치는 되튐분광장치(KOBRA), 대수용다목적핵분광장치(LAMPS) 그리고 질량측정장치(MMS) 등 3개다. 이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 학년 정원이 40명 안팎인 소수정예로 운영하고 있다.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10~11명 정도(학부생 기준)인 만큼 교수진과 학생들이 소통할 기회가 많다. 특히 발사체와 인공위성, 인간동력항공기 등 전공과 연계된 동아리 6~7개는 교수들이 직접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진로 설정을 돕고 있다. 이들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자입니다. 하지만 마르케스 교수가 처음부터 수학을 공부했던 건 아닙니다. 대학교 학부 전공은 토목공학인데, 대학 때 수학에 매료돼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습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몰라서 수학자를 꿈 꿔 본 적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브라질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케임브리지대학, 킹스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고등과학원 수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응용되는 산술기하 연구를 포함하여, 정수론에 응용되는 다양한 산술기하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헬멧처럼 머리에 쓰는 웨어러블 뇌자도 측정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가 개발됐다. 매튜 브룩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머리가 움직여도 뇌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3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뇌자도는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뇌 활동의 비밀을 밝히는 데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타지 생활이 힘들지는 않은가요. 말도 안 통하고 불편한 것도 많죠. 2003년 KAIST 학부생 시절 미국에 교환학생으로 갔는데, 그 때는 6개월 지내고 바로 짐 싸서 돌아왔습니다. 그럼에도 현재 미국에 있는 이유는 거기서만 배울 수 있는 게 있고, 지금 자리에 안주하고 싶지 않은 욕심 때문입니다.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합격시켜준 것 같습니다.”올해 입학식에서 신입생 대표로 선서를 했던 GIST 기초교육학부 18학번 이민행 씨는 합격 비결을 이렇게 말했다. 소외 질병 연구로 꿈 구체화시켜이 씨의 꿈은 중학생 때 시작됐다. 우연히 서울대 평생교육원에서 열린 강연을 듣고 처음으로 생화학이라는 분야를 알게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