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때와 같은 격렬한 반응이 있다. 한두희한국항공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금속입자연소추진파이로 분야의 전산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적 모델링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무기재료공학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코넬대 재료공학과 박사후과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UNIST에 재직 중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 ...
- [냠냠! 어수잼] 우리 집이 날아갔어! 다정이의 사라진 정다각집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음~. 시원한 공기, 바람에 나부끼는 커튼…. 응? 뭔가 이상한데? 세상에, 우리 집 창문이 사라졌어요! 그뿐만이 아니에요. 지붕 타일도 없어졌어요. 어젯밤 토네이도★에 날아갔나 봐요! 얼른 나가서 사라진 창문과 지붕 타일을 찾아야겠어요. 사라진 창문과 타일은 정다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요. 그 ... ...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으로 우리나라 지하수도 출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전달됐습니다. 이 진동은 우리나라의 지하수 수위를 변화시켰어요. 지난 2월 14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지하수연구센터 이수형 연구원팀이 이를 발표했지요. 지진이 발생하면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이 지각을 따라 이동합니다. 튀르키예에서 우리나라까지 전달된 진동은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전 관측에서 보지 못한 3.5mm 파장대의 고리구조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박종호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어떤 방식으로 흡수하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막대한 에너지를 분출시켜 멀리 떨어진 별과 은하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모으는 중인데, 지금이 딱 뛰어들 타이밍”이라고 권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탐사그룹장과 함께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화성 테라포밍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짚어봤다. 가장 유명한 건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의 주장이다. 화성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속 ‘특별한 존재’들의 비밀이 풀리리라 생각합니다. 최지원 과학동아와 한국경제신문을 거쳐 현재 동아일보에서 과학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동아의 열혈 독자다. jwchoi@donga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관심이 많고, 연구자가 꿈인 친구들에게 어떤 말씀을 해주시고 싶으세요? 한국에 중이온가속기가 생기면서 그간 해외에 가야 할 수 있었던 연구를 국내에서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핵물리, 입자물리, 재료,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하고 싶다면 중이온가속기를 어떻게 활용할지 잘 ... ...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 피해가 컸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찢어지다 “두 판 사이의 힘이 쌓였다가…, 팍! 풀리면 지진은 발생합니다.” 2월 16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만난 활성지구조연구센터 최진혁 센터장이 두 손을 나란히 붙여 왼손은 아래로, 오른손은 위로 천천히 움직였어요. 그러다가 어느 순간 두 손이 확 미끄러지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차이 때문입니다. 영상에서는 땅이 넓은 미국에선 온라인 문화가 활발하며, 땅이 좁은 한국에선 오프라인 문화가 우세한 탓에 이 현상이 메신저까지 이어졌다고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갈수록 고조되는 기후위기 시대에 사람들은 서로에게 그 탓을 돌리며 책임을 미루기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