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어린이과학동아
"
관측
"(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국립고흥청소년 우주
관측
센터에서 걸스카우트 활동중이에요 계속 올릴께요!^^
포스팅
l
20140524
지금 국립고흥청소년 우주
관측
센터에서 걸스카우트 활동중이에요 계속 올릴께요!^^ ...
천문대
관측
회 다녀왔어요 화성 달 북두칠성 처녀자리 스피카 보고왔어요
탐사기록
l
20140517
천문대
관측
회 다녀왔어요 화성 달 북두칠성 처녀자리 스피카 보고왔어요 ...
[미션수행] 사이언스데이가 좋아 ♥♥♥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데이 체험
기사
l
20140417
친환경무동력 오토마타 만들기 (서울대학교 Eco Love Science club) 달의 월령조견판(대전시민천문대 홈페이지 : star.metro.daejeon.kr) 태양흑점
관측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 www.kasi.re.kr) 스마트 원자로퍼즐 맞추기 (한국원자력연구원 홈페이지 : www.kaeri.re.kr) 를 체험했습니다. ...
오늘 동아사이언스 지하 1층 사이언스홀에서 '중력파의 흔적'에 대해 자세히 들었어요.
포스팅
l
20140405
말하자면 '중력파가 시공간을 뒤튼다'에 대해 아주~자세히 이야기 해주신 것 이죠. 최근에 BICEP2라는 망원경으로 우주배경복사를
관측
한 결과, 중력파가 있어야 나타난다는 특이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뉴스와 관련된 이야기예요. 하지만 너무 전문적인 이야기라서 다 이해하기는 어려웠답니다. 그래도 중력파가 타원형으로 요동친다는 것은 배웠어요.^ ... ...
아파트에 벚꽃이 만발하고 모기까지 등장~이상한 봄 지구 온난화의 생태계 교란
기사
l
20140331
공식 관찰했다고 한다. 다른 해보다 30일이나 빠르다고 한다. 서울에서 3월에 벚꽃이 만개한 것은 1922년 기상청이 벚꽃 개화를
관측
한 이래로 올해가 처음이이라고 신문에서 보았다. 다들 때 이른 초여름 같은 더위를 걱정하신다. 나도 봄이 빨리 오는 것이 싫다. 더운 여름은 더욱 싫다. 선생님 말씀처럼 진짜 지구 온난화 때문일까. 이렇게 지 ...
이것은 나시카의 나이트비전 입니다.뭐하는 용도 라고요?바로 천체
관측
용인 쌍안경 입니다.나
포스팅
l
20140329
이것은 나시카의 나이트비전 입니다.뭐하는 용도 라고요?바로 천체
관측
용인 쌍안경 입니다.나이트비전의 뜻은 '밤에 잘 보인다'라는 뜻 입니다. 아직 직접 눈으로 달과 별을 보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멀리는 보았습니다. 멀리 아주 잘 보였어요.달도 아주 잘 보이겠죠?? 만약에 쌍안경을 사시려면 저는 나이트비전을 추천합니다. ...
중력파의 발견이 왜 중요할까요? 빅뱅은 아시나요?
기사
l
20140321
현지시간)인터넷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론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관측
에선 중력파에 의해 생기는 직접 효과인 빛의 특정 편광 패턴을 '우주배경복사'에서 찾아냈다. 중력파의 발견은 천체물리학계의 오랜 숙원인 만큼, 이번발견을 토대로 우주의 역사를 제대로 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참 신 ...
동아사이언스 어린이 기자단 기자교육 어린이 기자단의 첫 번째 기자교육
기사
l
20140309
태양을 볼 때 주의할 점 교육 및 태양
관측
을 하였다. 그리고 망원경에 휴대폰을 대어 태양의 사진도 찍었다. 그런 다음, 천체
관측
관의 바로 옆에 있는 천체 투영관에서 별들도 보았다. 그리고 잠시 자유를 가진 다음, 회의실로 가서 인터뷰 및 취재내용 올리기를 하였다. 그렇게 동아사이언스 어린이 기자단의 첫 교육은 막을 내렸다. ...
토성의 신비한 ‘고리’ 무려 44억년 전 생성
기사
l
20140306
토성을 상징하는 원반 형태의 고리가 무려 44억년 전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 대학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가 보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을 미 지 ... 55년 네덜란드 천문학자 크리스티앙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했습니다. 주요 고리는 3개로 바깥쪽부터 A, B, C라 칭해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
기사
l
20140306
최대 -5등급으로 분류됩니다.실제 밤하늘에서 육안으로 ‘금성이 목성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러나 망원경으로
관측
할 경우 “육안으로 보는 것과 반대로 금성이 작다”는 것은 500년 전에 밝혀진 정설의 과학입니다.목성은 금성보다 지구와 떨어진 거리가 훨씬 멀긴 하지만 워낙 커 태양계에서 지존과 같은 행성인 까닭입니다.이는 16세기에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