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어린이과학동아
"
셈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에 울려 퍼진 나눔의 멜로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31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지휘자 중 한 분이에요. 1977년 국제 지휘자 콩쿨에서 상을 타며 데뷔했으니 벌써 30년 넘게 지휘를 한
셈
이죠. 하지만 금난새 선생님의 음악회는 결코 어렵거나 딱딱하지 않답니다. 언제나 편안한 미소를 지으며 관객들에게 먼저 인사하고 친절하고 재미있는 설명까지 곁들여 주시거든요.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음악을 많이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31
비의 양도 50%나 늘었대. 물론 인공 강우 실험이 늘 비를 내리게 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비 올 확률을 높이는 건 분명한 사실인
셈
이지. 인공 강우는 오염 물질만 없애는 것이 아니라 비구름도 함께 없애. 비를 불러오는 대기 중의 습기를 미리 비로 만들어 떨어지게 하기 때문이야. 개막식 당일 비가 올 확률을 확 낮춰 주겠지? 이제는 올림픽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14
못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 이 순간에도 매년 하나 꼴로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하고 있으니 신종 전염병의 위협은 나날이 커지고 있는
셈
이다. 불치의 전염병, 에이즈 흔히 에이즈라고 불리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 걸리면 인체의 면역 기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에이즈 환자는 사소한 질병에 걸려도 목숨을 잃기 쉽다. 에이즈는 1981년에 공식적으로 발견되었는데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12
깊이가 얕은 곳에서 일어날수록 에너지가 지표면에 잘 전달돼 큰 피해를 입힌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땅 속에 묻혀 있는
셈
이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예고 없이 일어나는 지진의 원인을 알아 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밝혀 낸 지진의 원인을 알아보자. 지진은 판과 판의 충돌 지구의 겉껍데기라고 할 수 있는 지각은 ...
지구 곳곳, 무엇을 먹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14
차드예요. 차드인 한 사람이 일 년간 먹는 고기의 양은 14.1㎏밖에 되지 않아요. 호주 사람들이 차드 사람보다 7.5배나 많은 고기를 먹는
셈
이지요. 이번엔 만난 가족은 차드 동쪽의 브레이드징 난민촌에 사는 아부바카르 씨 가족입니다. 아기까지 6명의 가족이 일주일 동안 먹는 음식이 이것뿐이라니 놀랍죠? 일주일치 식품을 사는 데 든 돈도 우리나 ...
책 속에 길이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30
“책에는 아주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삶의 지혜는 물론, 수많은 지식과 정보가 들어 있어요. 책 속에 길이 있다는 명언이 꼭 맞는
셈
이죠.” 박중훈 아저씨는 우리 친구들도 책을 통해 미래에 하고 싶은 직업을 꿈꾸고 지금 고민하거나 궁금한 것도 해결했으면 좋겠대요. 그래서 많은 친구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를 나누어 주는 사이언스 메세나 운동에 기 ...
과학에 몸을 던진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14
움직였고, 인터넷을 이용해 바다 건너 5400㎞ 떨어진 미국의 로봇을 조종하기도 했다. 인터넷과 직접 연결된 세계 최초의 인간이 된
셈
이다. 워릭 교수는 부인에게도 전극을 연결해 서로 감각을 주고 받는 새로운 실험도 했다. 전기 신호만으로 부부가 소통할 수 있을지 알아본 것이다. 결과는 성공! 워릭 교수는 부인이 팔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신호를 ...
요건 몰랐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31
넓게 포함하는 설치류를 말한다. 도토리를 좋아하고 다람쥐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이빨이 잘 발달된 스크랫도 설치류에 속하는 쥐인
셈
! 그렇다면 스크랫 같은 설치류가 그 시대에 실제로 살았을까? 놀라지 마시라! 지금으로부터 약 7만 년 전인 빙하시대를 훌쩍 뛰어넘어 무려 5300만 년 전에도 쥐가 있었다. 그 동물은 바로 설치류의 조상이라 불리는 파 ...
겨울방학 심심타파! 하나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14
실제로 나비의 날개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보면 물방울이 흡수되지 않고 또르르르~ 굴러가. 즉 나비는 날개를 펴기만 해도 우산을 쓰는
셈
이지. 나비의 날개는 예쁘기만 한 게 아니라 적으로부터 몸을 지킬 수 있는 보호색이기도 해. 게다가 날개의 각도를 요리조리 움직여 햇빛 받는 양을 조절해 몸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한겨울에 보는 나비만큼이나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13
먹이를 먹기 위해 진화했더니 결국 자신도 남한테 더 잘 잡아 먹힌 거죠. 한 마디로 정리하면 X자 거미줄이 약이 되면서 독도 되는
셈
이죠. 이런 방식으로 진화가 일어난 건 이번이 첫 발견이래요. [소제시작]과거속으로[소제끝] 1917년 12월 16일 SF 작가 아서 클라크 출생 ‘우주전쟁’을 쓴 허버트 웰스 이후 영국이 낳은 가장 뛰어난 SF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