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병사
군대
장병
군부
졸병
전사
뉴스
"
군사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인간은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이제 로봇 스스로 판단해 화기 사용을 결정 할 수 있을 만큼 고도화 됐습니다. 많은
군사
전문가들은 전투로봇 마르스에 우려를 표했죠. 마르스의 경우 인간병사가 원격으로 제어하고 작동 범위도 800m로 제한 돼 있지만 인공지능 발전에 따라 치명적으로 변신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이런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⑦ 내 의식을 로봇에 옮겨심는다면… 써로게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하는 화면 모니터링용 써로게이트 시스템을 이용해 아르바이트하는 사람도 등장한다.
군사
용 목적으로도 대단히 유용하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군인들은 전쟁 상황에도 목숨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군을 향해 달려나갈 수 있다. 군인들은 로봇이 파괴되면, 즉시 새 로봇을 부여받아 작전지로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② 1초에 2GB씩 주고받는 밀리미터 웨이브
2018.04.09
이제까지 주로 썼던 주파수들인데, 이 안에는 2G부터 3G, LTE, TV를 비롯해 비행기나
군사
용 등 빈 틈 없이 촘촘하게 용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주파수를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쉽게 쓸 수 있는 주파수는 이미 대부분 역할이 정해져 있다. - 최호섭 제공 이 밀리미터 웨이브 기술은 ... ...
세계 과학자들 KAIST에 “AI 킬러로봇 개발 중단하라” 해프닝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날 미국에서는 구글 직원 3100여 명이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에게 미 국방부의
군사
용 AI 연구에 구글이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는 공동성명이 담긴 서한을 보냈다. 미 국방부는 해당 연구를 통해 AI로 이미지 인식 기술을 향상시켜 무인 항공기의 타격률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 ...
지구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매년 100t씩 하늘서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것이다. 2009년에는 시베리아 상공에서 미국의 민간통신위성 ‘이리듐 33호’와 러시아의
군사
통신위성 ‘코스모스 2251’이 충돌해 1500여 개의 파편이 발생하기도 했다. 때문에 비탈리 아두슈킨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지구역학연구소 교수는 2016년 1월 국제학술지 ‘악타 아스트로노티카’에 발표한 ... ...
“혁신 신소재를 찾아라”… 주목받는 ‘극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모두 고려해 다양한 조건에서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극한연구는 특히 항공우주,
군사
과학기술 분야에도 더없이 유용하다. 음속의 몇 배가 넘는 초음속 비행기를 개발하려면 가볍고 튼튼하면서도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첨단 신소재는 필수다. 현재 국내에선 대학 실험실 등을 중심으로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러시아 개발 주장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Waverider)는 마하 5속도로 200초 이상 비행하는데 성공했다. 보잉이나 록히드마틴 등 민간
군사
기업과 미 정부가 힘을 합쳐 2030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극초음속무기가 등장했을 때를 대비한 방어체계는 현재로선 전무하다. 지상이 아니라 우주에서 비행체의 궤적을 감시하는 ... ...
빅데이터 암호화된 그대로 분석...개인정보 유출 원천차단
과학동아
l
2018.03.23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형암호를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군사
분야에서도 동형암호에 관심이 많다. 미 해군 산하 연구기관인 우주및해전시스템사령부(SPAWAR)에서 사이버 보안을 연구하는 로저 홀먼 박사는 “인터넷전화(VoIP) 등을 통해 민감한 정보를 주고받을 때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⑤]사이보그 몸 입은 인간의 고뇌… ‘로보캅’
동아사이언스
l
2018.03.08
모두 기계장치로 교체된 자신의 모습에 절망하고 회의를 느낀다. 머피는 대량생산된
군사
용 로봇과 비교해 월등한 성능이지만, 인간의 감정을 가진 점이 약점이 돼 실전에 도리어 약한 모습도 보인다. 결국 뇌를 컴퓨터 시스템과 동기화해 전투행동 중에는 완전히 자동화 프로그래밍에 따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한군과 닮은 벌새 기동성, 어떻게 진화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2.10
‘벌새’가 2월 둘째주 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에 등장했다. 이 움직임을 모델로
군사
용 소형 비행로봇을 설계하기도 한다. 벌새 특유의 기동성은 어떻게 진화돼 온 걸까? 사실 이런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 유전자 분석법을 많이 쓰지만, 이것만으로 세분화된 진화가계를 작성하려면 허점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