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연합뉴스
l
2021.03.18
무증상 감염자의 경우 T세포의 면역 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뤄져 염증 촉진
분자
와 억제
분자
사이의 미세한 균형이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의 듀크-누스(Duke-NUS) 의대 연구진은 최근 '실험의학저널'에 이런 요지의 논문을 발표했다. [듀크-누스 저널 'JEM' 논문 캡처 / 재판매 및 DB 금지] 이 ... ...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에 조인호 이화여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이화여대 의대
분자
의과학교실 교수. 이화여대 제공 조인호 이화여대 의대
분자
의과학교실 교수가 줄기세포∙유전자 등을 활용한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임상단계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단장으로 선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12월 사업단장 ... ...
고대 화성 덮었던 물 "광물에도 상당량 붙잡혀 있어"
연합뉴스
l
2021.03.17
오래된 지각은 맨틀로 떨어지고 새로운 지각이 형성되면서 화산활동을 통해 물과 기타
분자
들이 대기로 분출돼 순환이 이뤄지지만, 지각 활동이 거의 없는 화성에서는 광물에 갇힌 물은 영원히 붙잡혀 있게 되는 것으로 연구팀은 설명했다. [NASA/JPL-Caltech/ASU/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 ...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더 미세하게 만들어 마스크를 끼고 숨 쉴 때 답답하지 않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공기
분자
사이의 거리가 약 70nm라는 점에 착안해 섬유 굵기를 70nm 수준으로 매우 가늘게 만드는 것이다.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가 마스크를 수십 번 빨아서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도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그 양은 115만6800t이다. 뷰슬러 센터장은 “삼중수소는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여서 물
분자
의 일부나 마찬가지”라며 “(오염수가 해양에 흘러 들어가면) 물에서 삼중수소를 분리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핵전쟁 방지 국제의사회(IPPNW)’가 온라인으로 개최한 국제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mRNA 백신 효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오스트리아과학아카데미
분자
의학연구센터 연구진은 스위스, 러시아, 미국 등 연구진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분리주의 심층 염기서열 분석 결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표면 단백질과 결합하지 못하는 변이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위장하고, 민트초코를 좋아하는 척 혹은 싫어하는 척 해야 한다. 당연히 이러한 불순
분자
를 식별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이어진다. 민초파로서 성공하려면, 자신의 순수한 민초성을 과시하고, 충성심을 입증해야 한다. 반민초파도 마찬가지다. 집단은 점점 양극단으로 나뉜다. 민초파로서의 순수성을 ... ...
[프리미엄 리포트] 가습기 살균제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들
과학동아
l
2021.03.06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법원은 판결문에 “CMIT와 MIT는 저
분자
화학물질로 높은 물용해도를 갖고 있어 호흡기 내로 흡입되면 비강 및 상기도 부위에서 상당 부분 흡수된다”고 적었습니다. 폐가 위치한 하기도 부위까지 도달해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다는 뜻입니다. 가습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텍사스 가짜 눈의 정체
2021.03.03
양의 물은 아래로 흘러내리는 대신 눈송이 사이의 빈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물
분자
가 여전히 차가운 상태로 남아있는 눈송이의 빈틈에 끼어들어가서 젖은 눈이 되는 것이 열역학적으로 더 안정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눈덩이를 프라이팬에 올려놓고 느린 속도로 가열하면 눈덩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유전자 발현 조절에서 중요한 발견을 했고 1989년 유전학・
분자
세포생물학연구소에 실험실을 차려 연구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관심이 있던 유전자의 발현량이 하루 주기로 오르내린다는 사실을 발견한 그는 생체시계와 관련된 생물학으로 연구의 폭을 넓혔다. 하루 2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