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d라이브러리
"
맥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05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는 합성생물학과
맥
이 닿는다. 영화 제목인 스플라이스(splice)는 유전공학에서 ‘서로 다른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합성생물학 연구자들은 영화와 달리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 수준을 연구 대상으로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상태를 끝내기 위한 회상은 그 정도면 충분했다. 작년에 보내 두었던 탐사용 드론이 철광
맥
을 새로 찾아냈으니 당분간은 광산 설비를 갖추는 데에 전념해야 했다.*맑디 맑았던 밤하늘은 거짓말처럼 사라지고 눈보라가 나를 진정시키기 위해 쏟아붓고 있었다.눈이 쌓여가는 설원에서 잠시 마음의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601
되도록 길을 닦아 주었다. 그래서 모리아티도 아마 예비 신학대학에 들어갔을 것이다.
맥
경위가 말한 성직자적인 면모도 여기서 나왔을 확률이 높다.“(모리아티의)업적은 분명 특출했다. 그는좋은 집안에서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그리고 수학자적 자질을 타고났다. 21세에당시 유럽에서 유행하던 ... ...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
과학동아
l
201512
연구팀이 그런 외계행성이 설사 존재한다고 해도 대다수는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다는
맥
빠지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미국 우주망원경연구소 피터 베루치 연구원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케플러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토대로 지구형 행성 생성에 관여하는 물질이 우주에 얼마나 남았는지 분석했다.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10
바로 직전 위성에서 재전송하면 된다.지연허용망은 원래 히말라야나 아마존, 알프스 산
맥
같은 지구의 오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던 방법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이 방법을 심우주통신에 적용하기 위해 2008년 인공위성 실험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연구 중이다. ...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
수학동아
l
201510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 워싱턴대 수학과 케이시 만 교수와 그의 아내 제니퍼
맥
루드 교수는 2년 전부터 평면을 빈틈없이 덮을 수 있는 오각형 타일을 찾고 있었다. 두 교수는 프로그래밍 실력이 뛰어난 학부생 데이비드 폰 데라우와 팀을 이뤘고 마침내 이어 붙여도 빈틈이 생기지 않는 ... ...
전통의 색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510
학예연구사는 “재료와 제조법, 특성을 규명해서 잊혀져 가는 전통안료의
맥
을 잇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며 “현장에서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안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전통안료의 제조법과 품질 특성, 안전성, 시공 방법 등의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10
갑상선이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보다 앞서 2013년 미국 프린스턴대 마이클
맥
알파인박사팀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파를 인지할 수 있는 인공 귀를 3D프린터로 찍어냈다(위 사진). 연골로 만든 코일 주변에 세포를 귀 모양으로 쌓아 만든 것이다. 영화에서 드로리안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과학동아
l
201508
커브를 더 많이 던질 것을 요구했다. 2013년 26이닝을 던져 평균자책 10.04를 기록했던
맥
휴는 이듬해 154.2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 2.73을 기록하고 11승을 거둬 일약 팀의 중심 투수로 도약했다.트래캡도 비슷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08
조선 초기의 도자기인 분청사기. 분청사기는 15~16세기 약 200년간 제작되다가 임진왜란 때
맥
이 끊겨 사라진 비운의 도자기다. 물속에서 건져 올려진 문화재를 눈으로 직접 보니 신기할 따름이었다. “신기하죠? 400년 동안 물에 갇혀있던 유물이 처음으로 육지의 빛을 보는 순간이에요.” 바닷속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