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샘터
새암
SAM
쌤
시기
질투
d라이브러리
"
샘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07
선생님이다. 김 선생님은 다양한 특징이 있는 아이들에게 스며드는 물이 되려면 마음의
샘
을 늘 갈고 닦아야 한다고 했다. 글씨를 쓰는 것은 여유로움을 즐기고 마음을 닦는 방법이다.“정신없이 바쁘다고 급한 일만 먼저 하다 보면 시간이 가볍게 날아가 버려요. 혼자 천천히 생각하는 습관은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
과학동아
l
201504
알게 된 건, 이것들이 모두 사라지고 난 뒤였다.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였지만, 지혜의
샘
일 수는 없었다. 백과사전보다 훨씬 많은 정보가 인터넷 망에 공짜로 올라왔지만, 정작 우리가 보는 정보의 양은 더 줄어들었다. 지금 당장 꼭 필요한 정보만 검색했기 때문이다. 때론, 뭐라고 검색해야 할지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들을 수 있었거든요. 기원전 3세기에 이미 11개의 도시에 수로가 완성됐지요. 주변의
샘
이나 호수에서 물을 끌어와 침전지에서 불순물을 가라앉힌 뒤, 저수조에 저장했어요. 마치 현재에도 건물 옥상에 있는 물탱크처럼 말이에요. 이렇게 저장된 물은 집집마다 들어와 생활용수로 사용됐답니다 ... ...
[화보] 사진 속 발칙한 상상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04
공유를 했답니다.하이네의 작품을 보니 독자 여러분도 무한한 상상이
샘
솟지 않나요? 독자 여러분도 현실에서는 절대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 갑자기 일어나고 있다는 발칙한 상상을 한번 해 보세요. 지루한 일상이 금세 놀라운 예술작품으로 변하는 기적이 일어날 거예요 ... ...
[과학뉴스] 두 얼굴을 가진 고대 물고기
과학동아
l
201502
마지막 공통조상은 지금껏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영국 옥스퍼드대 지구과학과
샘
자일스 교수팀은 경골어류로 여겨왔던 물고기 화석이 사실은 연골어류와 경골어류의 공통조상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 ‘네이처’ 1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약 4억1500년 전 데본기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12
테라다 타쿠야(일본 대표) 그거 일본도 해요.장위안 중국도 해요.유세윤 한국도 해요.
샘
오취리(가나 대표) 가나는 안 해요!타일러 (웃음) 미국은 해요. 러시아와 인도도 참여하죠. 이렇게 동서와 체제를 넘어 여러 나라가 참여하는 거대과학은 유례가 없어요. 국제정치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놀라고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10
데도 공을 들였다.STAGE 1
샘
로이드의 숫자퍼즐 강의안녕하세요? 퍼즐캠프의 시작을 맡은
샘
로이드입니다. 혹시 15퍼즐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15퍼즐은 4×4칸에 1부터 15까지의 숫자를 차례대로 놓은 뒤, 마지막 14와 15를 바꾸었을 때 다시 원래대로 돌릴 수 있는지를 묻는 퍼즐입니다. 저는 이 퍼즐을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09
빠질 수 없는 독자기자들도 한 번 도전해 보기로 했다.“이 퍼즐은 유명한 퍼즐 발명가인
샘
로이드 만든 숫자퍼즐이에요. 16×16 격자 안에 배열된 15개의 숫자조각을 빠른 시간 내에 순서대로 배열하는 게 이 게임의 핵심이지요.”같은 시간, 다른 독자기자들은 무선 조종을 통해 최소 곡면을 탐험해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
과학동아
l
201408
저런 순간적인 상황에서도 감각 정보보다 경험이 중요하답니다. 이상훈 교수와 손한
샘
연구원이 2012년 10월 신경생리학저널에 발표한 내용을 볼까요. 물체를 추적하는 실험을 했어요. 예를 들어 야생에서 사냥을 하는데 도망치던 사슴이 바위 뒤로 숨으면 ‘이때쯤 나오겠다’하고 반대쪽을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05
분화가 주를 이뤘다.네 번째 분화가 끝날 무렵에는 폭발력이 감소하면서 용암이
샘
처럼 솟아오르는 ‘용암분천형 분화’로 변한다. 이 기간 완전히 식지 않은 분출물이 분수의 물방울처럼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인근 지역으로 흩어져 서로 달라붙고 굳었다.울릉도의 마지막 분화가 언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