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턱
악골
아래턱뼈
d라이브러리
"
턱뼈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11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2000년과 2005년 각각 발굴한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하나의 개체의 것으로, 둘을 합치면 거의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된다. 지금까지 나온 친척 인류의 머리뼈 화석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아, 초기 인류의 머리와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만들었다.포유류는 씹는 능력을 키웠다. 잘게 자른 먹이는 소화를 더욱 쉽게 해준다.
턱뼈
는 작아지고 귀에 더 가까워졌다. 파충류의 아래턱이 직선이라면 포유류의 아래턱은 휘어 있다. 턱이 두개골에 상당 부분 융합되면서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게 됐다. 하지만 뱀처럼 자기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06
보이세이는 두뇌가 작은 대신(500cc) 이빨이 어마어마하게 컸습니다. 씹는 근육도 발달해
턱뼈
와 광대뼈도 엄청나게 컸습니다. 반면 육식을 주로 한 호모 에렉투스는 상대적으로 큰 두뇌(1000cc)를 가진 대신 이빨이 작고 씹는 근육 역시 작았습니다. 식습관과 두뇌 크기 사이에 놀라울 정도로 관련이 ... ...
범고래에게 송곳니만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03
BMP4,
턱뼈
뒤에 FGF8이 있었다. 돌고래 태아는
턱뼈
뒤에 FGF8이 있는 것은 동일했지만 BMP4가
턱뼈
전체에서 나타났다. 턱 전체에 분포하는 BMP4가 FGF8보다 우선적으로 작용해 뾰족한 이빨만을 만들게 한 셈이다. 게다가 유전자를 조작해 턱 전체에 BMP4가 있도록 만든 쥐 역시 어금니 없이 날카로운 이 ...
‘킹콩’이 살아 있다면
과학동아
l
201303
최근까지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계속 이빨뿐입니다.인류학자와 고생물학자는
턱뼈
와 이빨만 가지고도 많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먼저 크기로 몸집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영장류 중에서 가장 몸집이 큰 종은 고릴라로, 수컷의 무게가 180kg, 암컷이 90kg 가량 나갑니다. 그런데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01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배가 넘는 먹이도 거뜬히 삼킨다. 머리뼈와
턱뼈
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유연한 근육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단 먹이를 목구멍으로 넘기면 어깨뼈가 없기 때문에 먹이가 수월하게 소화기관으로 넘어간다. 그동안 척추에 연결된 ... ...
3D로 보는 인체의 비밀 ① - 미남 미녀의 조건
과학동아
l
201210
심한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머리뼈는 인체에서 가장 치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뼈다. 아래
턱뼈
를 제외한 머리뼈는 20개 이상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머리뼈는 봉합이라는 섬유관절을 통해 연결된다. 머리뼈 조립의 핵심은 나비모양의 나비뼈다. 11, 12월호에는 남녀의 골반과 손가락, 발가락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9
리키 미국 스토니브룩대 인류학과 교수팀은 2008~2009년 사이에 발굴한 초기 호모 속
턱뼈
화석 세 구를 연구해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8월 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미브 리키 교수는 1972년 아프리카 케냐 북부 쿠비 포라 화석지에서 ‘KNM-ER 1470’이라고 이름 붙인 화석을 하나 발굴했다.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07
초기 인류도 다른 유인원처럼 채식 위주의 식생활을 했을 것입니다. 큰 어금니와 깊숙한
턱뼈
를 보면 많은 양의 음식물을 수없이 많이 씹어 먹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육식보다는 채식을 주로 했다는 뜻입니다. 똑같은 양의 열량을 얻어내기 위해서 고기는 조금만 먹어도 되지만 채소는 많이 ... ...
6000만 년 전 악어 잡아먹는 거대 거북
과학동아
l
201206
몸통을 덮은 껍질은 어른 키와 비슷한 172cm였다. 연구팀은 화석에 남은 크고 강한
턱뼈
를 통해 이 거북이 잡식성이었을 거라고 추정했다. 먹이는 연체동물부터 작은 거북까지 다양했다. 또 이런 거북 한 마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넓은 영역이 필요했다고 추정했다. 크세프카 교수는 “호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