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의"(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내 생일이다. 하지만 얼마 전 영국 옥스퍼드대학 교의 존 케일 교수가 나를 비난한 것 때문에 아직도 몹시 화가 난다. 케일 교수는 내가 영국의 저명한 과학자 아이작 뉴턴의 연구를 베꼈다고 주장했다. 30 여 년 전 시작된 나와 뉴턴 사이의 논쟁을 두고 케일은 뉴턴 편을 든 것이다.때는 1675년경으로 ...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말했어요. 과거의 순간 ② 9900만 년 전 개미의 식사 시간! 미국 뉴저지공과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 필립 바딘 교수팀은 태국 미얀마에서 9900만 년 전 살던 지옥개미가 바퀴벌레를 문 순간이 저장된 호박을 발견했어요. 지옥개미가 커다란 낫과 같은 턱으로 바퀴벌레를 무는 순간, 소나무에서 나온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걸린다는 뜻 아냐”하지만 특정 연령층의 상대적인 위험이 낮다고 해서 그 자체로 등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많습니다. 우리는 이미 소아·청소년들의 집단감염 사례를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학원, 어린이집 등을 통한 감염입니다.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소리로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차단해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개발됐어요. 지난해 12월 9일 싱가폴 난양공과대학교의 간 웅 센 교수팀은 집안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소음을 절반으로 줄이는 장비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장비는 지름 4.5cm 크기의 소형 스피커예요. 스피커에 붙어 있는 센서가 외부 소음을 ... ...
- [특집] 호주 생태계, 풍선 인형에게 맡겨달라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사냥이 호주 생태계를 위험에 빠뜨린다는 우려도 있지요.올해 초, 센트럴퀸즐랜드대학교의 브래들리 스미스 교수팀은 딩고를 죽이지 않고 가축을 지키는 방법을 연구했어요. 교수팀은 총소리를 들려주거나, 공기 인형을 쓰면 딩고를 쫓아낼 수 있다고 추측했어요. 그래서 12마리의 암수 딩고를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가장 작은 공룡, 알고 보니 도마뱀? 논란이 된 연구를 발표한 곳은 중국지질과학대학교의 리다 싱 교수와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연구소 징마이 오코너 교수팀이에요. 그들은 미얀마에서 채굴된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초기의 호박에 든 두개골을 찾았어요. 겨우 1.4cm 정도로 벌새보다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빈도가 달라서예요.학자들이 출판하지 말라고 요구한 논문은 미국 해리스버그대학교의 교수 두 명과 대학원생이 작성했어요. 이들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사람의 사진을 보고 80%의 정확도로 범죄자를 찾아내는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만들었지요.그런데 얼굴인식 알고리즘은 어떤 얼굴 데이터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등 지진의 세기를 엄밀하게 나타내기엔 맞지 않았어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찰스 리히터 교수는 지진으로 인해 방출된 파동 에너지로 지진의 세기를 규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었어요. 이것이 바로 ‘지진 규모(magnitude)’로, 규모가 7.5 이상이면 대규모 지진이라 평가하죠. 현재는 ...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추운 날씨를 못 견뎌 뉴욕 식물원,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모리스 수목원, 하버드대학교의 아놀드 수목원 3곳에서만 특별히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경찰은 시신이 발견된 보스턴에 있는 아놀드 수목원 근처 거주지를 조사해 범인을 검거할 수 있었다. ‘콧구멍 여인’의 꽃가루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곡선은 이론적으로 현수선보다는 포물선에 가깝다는 것을 설명한 글이 실렸어요. 현수교의 케이블에는 도로를 받치는 로프가 일정한 간격마다 매달려 있기 때문에 현수선과 같을 수 없다는 거죠. 프리먼은 이 로프가 케이블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을 고려해 케이블이 그리는 함수식을 다시 구했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