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벌레"(으)로 총 850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 김 메이커도 특별한 부스를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코그모 로봇을 시작으로, 자벌레 로봇, 좀비 로봇, 로봇 자판기 등 다양한 창작 로봇을 선보였던 지라 창작 로봇 메이커로 널리 알려진 그였다. 그런데 올해 선보일 창작품은 한국 특허 출원까지 성공한 발명품이다. 오랫동안 재직했던 ... ...
-
- [JOB터뷰] 국내 최초 꿀벌 수의사, 정년기 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나눠 가는 것처럼, 꿀벌도 시기에 따라 맞춤 진료가 필요해요. 언젠가 번데기 전문의, 애벌레 전문의가 따로 생긴다면 신기할 것 같네요. Q. 꿀벌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꿀벌의 몸에 진드기 등 기생충이 생기면 기생충을 죽이는 약을 뿌려요. 저는 꿀벌을 기르는 양봉장 주인들이 이 약을 제대로 ... ...
-
- 최상위 포식자 ‘메가로돈’ 영화와 실제 화석은 얼마나 비슷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조나스’가 다시 한번 깊은 바닷속에서 메가로돈과 대결을 벌입니다. 영화는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파충류, 그 파충류를 잡아먹는 작은 공룡, 그 작은 공룡을 잡아먹는 티라노사우루스의 모습으로 시작합니다. 거대하고 사나운 티라노사우루스를 한입에 먹어 버리는 건 다름 아닌 ... ...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높이 올라갈 수 있는 거예요. 연구팀이 방아벌레의 흉부 근육을 따라 만든 로봇은 방아벌레와 길이가 똑같지만 무려 90cm까지 점프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재난으로 건물이 무너졌을 때 로봇이 건물 잔해 속으로 기어들어 가 묻혀 있는 사람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뻔한 방식일 수 있다. 하지만 해마다 봄이면 꿀벌이 사라졌다고 걱정하다가 여름엔 벌레의 습격으로 고통받는 게 지겹다면, 한 번쯤 귀 기울여 봐야 할 전략이다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세균이나 포자식물 등이 무성생식을 해요. 예를 들어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짚신벌레는 한 세포가 동일한 두 세포로 나누어지는 ‘이분법’으로 무성생식을 합니다. 이때 세포 내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은 유전 물질의 복제가 일어나지요. 강장동물의 한 종류인 히드라는 몸의 일부에서 새로운 ...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든다?! 기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섭취하지 마세요. 곤충을 조종하는 버섯 동충하초(冬蟲夏草)는 한자어로 겨울엔 벌레, 여름엔 풀(버섯)이라는 뜻이에요. 이름처럼 동충하초는 월동 중인 번데기나 곤충에 기생하며 자라는 버섯이에요. 기생하며 자란다니, 곤충에겐 그야말로 공포의 대상이죠. 동충하초의 포자는 산성 성분인 ...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아직 AI가 완벽한 스토리를 만들진 못하지만, chatGPT와 상호작용하면서, ‘냄새 먹는 애벌레’와 같은 재밌는 예술적 영감을 얻을 수 있었어요. Q. 이미지에는 AI를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만화에는 컷마다 다양한 배경이 삽입돼요. 이를 일일이 수작업하면 굉장히 많은 시간이 필요해요.그래서 ... ...
-
- [이달의 뉴스] 투우사 벌레의 화려한 다리 깃 수수께끼를 풀어라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보세요, 다리를 흔들면 막 펄럭여요. 이것 때문에 사람들은 저를 복잡한 학명보다 투우사 벌레라는 별칭으로 더 많이 불러줘요. 크고 화려한 깃을 갖고 있는 이유가 있나요?순순히 알려 드리긴 어려운 걸요. 제 깃을 신기해 하는 사람들이나 저를 과일농장에서 내쫓고 싶은 사람들이 알아내려고 ...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DNA에 형광염료를 부착해 섭취 결과를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단 둘 간 차이는 있었다. 짚신벌레는 바이러스를 섭취하는 동안 크기와 개체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할테리아는 개체수가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클로로바이러스의 개체수는 100분의 1로 줄었다. 존 드롱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