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교
전도
포고
미션
고지
포도부장
함교
d라이브러리
"
선교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한글점자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최초의 한글점자는 1894년 한국인이 아닌 미국인
선교
사 로제타 셔우드 홀 여사에 의해 만들어졌다. 홀 여사가 처음 만든 한글점자는 4개의 점을 사용한 점자였다. 그러나 점 4개로는 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없어 사용하지 않게 됐다.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1926년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됐습니다. 그 후 유럽의 식민지 쟁탈전이 전개되면서 식민 세력의 선두로 파견된
선교
사들과 인류학자들은 가는 곳마다 식인종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기록해 논문과 책, 잡지 기사로 출판했습니다. 식인 풍습은 곧 미개인의 대명사가 됐지요.그런데 20세기 후반 이 기록과 책을 꼼꼼히 살펴보자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다양한 모습으로 변하며 전해 내려왔습니다. 늑대와 양이 나오는 퍼즐도 있고, 식인종과
선교
사가 나오는 퍼즐도 있지요.강 건너기 퍼즐은 종류가 다양해 딱 정해진 공식이 없습니다. 표를 만들어 차근차근히 푸는 것이 좋습니다. 풀고 난 뒤에는 각 단계별로 다시 검토해 오가는 횟수를 줄일 방법이 ... ...
자신의 모든 것을 신나게 펼쳐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사례로 두 명의 학생을 소개하고 싶다. 우선 대안학교 출신의 한 학생은 어린시절부터
선교
사로 활동하는 부모님과 떨어져서 자랐다. 그러면서 스스로 학업하고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을 일찌감치 마련한 학생이다. 사교육 없이 공인영어성적을 취득하고 창의력 올림피아드 대회에서 수상했다.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숫자는 언제부터 사용한 건가요?“1653년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네덜란드인 하멜이
선교
사와 함께 제주도에 들어왔습니다. 아마 그 때 처음 아라비아 숫자를 접했을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모릅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42년 김대건 신부가 쓴 편지에 날짜를 아라비아 ... ...
자선냄비는 곱셈의 마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부자’로 이끄는 나침반과 같습니다.우리나라 자선냄비의 시작은?자선냄비는 구세군의
선교
와 함께 세계 117개 나라로 퍼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 강점기였던 1928년 박준섭 구세군 사령관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12월 15일 서울에 자선냄비를 설치하면서 시작됐다. 현재는 전국 곳곳에서 매년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후에는 유럽 각국에까지 보급됐다.중국에 덜시머를 전한 이는 바로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
사였던 마테오 리치였다. 그는 천주교를 전파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1601년경 덜시머를 가져갔고, 중국인들은 이 악기를 양금(洋琴 또는 揚琴)이라 불렀다. 양금은 언제 우리나라에 전해졌을까. 조선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꾸준한 투자와 지원으로 결국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쾌거를 이뤘다. 1905년 미국인
선교
사가 소개한지 100여 년 만의 일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노벨상은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당장 돈을 벌어들이지는 못하지만, 기초과학 발전이 파생하는 경제적, 사회적 효과는 시간이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하는 곤드와나 식물군이 알려져 있다 가톨릭교 신부 마테오 리치가 명(明)나라 말기에
선교
사로 중국에 파견되어 왔을 때 제작한 한문 세계지도 초판은 1602년 뻬이징(北京)에서 이지조(李之藻)에 의해 간행되었다전체 6폭, 가로 381cm, 세로 171cm의 크기이다아피아누스 투영법(投影法)을 사용하여 동서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서유럽에서는 망원경을 이용한 천문관측이 1670년대쯤 일반화됐다. 하지만 조선에서는
선교
사들에 의해 전해진지 한참 뒤에도 군사용이거나 천체관측용이거나 그리 요긴하게 사용되지 못했다. 서양에서는 망원경을 통해 우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알고 세계관을 변화시켰지만, 조선에서 망원경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