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생"(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하루는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속담을 알려 주었는데 한 학생이 되묻더라고요. “선생님! 지난번엔 아는 게 힘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아는 건 좋은 거예요? 나쁜 거예요?” 두 속담은 정반대의 말인데 하나가 맞으면, 다른 하나는 거짓말이 되어버리는 거잖아요. 보통은 속담의 표면적인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계산 실수를 바로잡고, 10세 때는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합을 대칭성을 이용해 계산해 선생님을 깜짝 놀라게 했다. 또한 대학 시절 정수론을 이용해 정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통계학과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분포)’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손을 잡고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감기가 아니라 폐렴이네요.” 네로를 진찰한 의사 선생님이 말했습니다.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폐렴, 어떤 질병일까?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 폐는 폐포라는 작은 공기주머니들로 이뤄져 있어요. 우리가 호흡을 통해 들이마신 공기는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대 시절부터 수학을 사랑했기 때문에 이번 발견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으로부터 답이 여러 개인 문제에 도전하고 또 도전하는 것이 수학의 매력이라는 점을 배웠다고 한다. 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전공한 그는 페덱스에서 재무관리를 담당했는데, 시간이 날 때마다 매일 거대 ...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신비아파트 제작 스튜디오에 가다' 신비한 애니메이션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많은 사람이 듣고 싶어 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어요. 어릴 때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무서운 이야기 좀 해주세요”라고 했던 경험을 떠올렸지요. 한국의 전통적인 귀신이 나오면서도 너무 잔인하지 않고, 어린이의 눈높이에도 맞도록 노력했어요. 시청자들이 캐릭터와 금방 친해지게끔 만들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다양한 목표를 세워요. 독자 여러분은 어떤 계획을 세웠나요? 선생님은 뜻깊은 한 해를 보내기 위해 올해는 일기를 꼼꼼히 쓰기로 결심했어요. 일기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자신과의 대화, 성장의 발자취를 남기는 중요한 도구가 되거든요. 그림 로 유명한 화가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시티 중앙 광장역에 도착할 것이 분명해보였다.“저도 알아요. 하지만 빨리 가고 싶어요. 선생님, 음악 좀 틀어주실래요?”“알겠습니다. 선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음악은 내가 잘 알지요. 잠깐 눈을 붙여도 좋아요. 도착할 즈음 깨워줄 테니.”선의 양쪽 귀에 꽂힌 이어폰에서 은은한 하프시코드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극히 드물어, 일본인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된 종이 그리 많지 않았죠. 또 석주명 선생 등 우리나라 곤충학자들이 발표한 신종도 거의 없어요. 황무지 같았던 곤충 분류학에 몸을 담아 연구에 매진했기에 850여 종의 이름을 붙일 수 있었습니다. Q표본을 보고 신종인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나방의 ... ...
- [질문하면 답해ZOOM] 지구온난화라는데 왜 겨울이 더 추워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지구온난화라는데 왜 겨울이 더 추워지나요? ‘부산 앞바다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AGI가 구현된 현실을 좀 더 상상해 볼까요? 학교에서는 인공지능 선생님이 학생의 수준을 정확히 진단해서 맞춤식 수업을 해 줄 거예요. 인공지능 법률가가 죄목을 따져 공정하고 빠르게 판결하고, 인공지능 의사가 환자의 질병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부터 수술까지 해 줄 수도 ... ...
이전1234567 다음